반응형
子曰: "君子欲訥於言而敏於行." [包曰: "訥, 遲鈍也. 言欲遲而行欲疾."]
子曰: "군자는(君子) 말을(於言) 어눌하게 하고(欲訥而) 행동을 민첩하게 하려고 한다(敏於行)." [包曰: "눌은(訥), 굼뜬 것이다(遲鈍也). 말은(言) 굼뜨게 하려고 하고(欲遲而) 행동을 빠르게 하려고 한다(行欲疾)."]
【疏】"子曰:君子欲訥於言而敏於行." ○正義曰: 此章愼言貴行也. 訥, 遲鈍也. 敏, 疾也. 言君子但欲遲鈍於言, 敏疾於行, 惡時人行不副言也.
【疏】자왈 군자욕눌어언이민어행("子曰:君子欲訥於言而敏於行.")
○正義曰: 이 장은(此章) 말을 신중하게 하고(愼言) 행동을 귀하게 여긴 것이다(貴行也). 눌은 굼뜬 것이다(訥, 遲鈍也). 민은 빠른 것이다(敏, 疾也). 군자는(言君子) 다만(但) 말을 굼뜨게 하려고 하며(欲遲鈍於言), 행실을 빠르게 하려고 하고(敏疾於行), 당시 사람의 행동이(時人行) 말에 맞지 않는 것을(不副言) 싫어했다(惡也).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주소(論語注疏)'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주소(論語注疏) 이인(里仁) 4-26] 사군삭붕우삭(事君數 朋友數): 충고하는 말이 잦으면 안된다 (0) | 2025.02.18 |
---|---|
[논어주소(論語注疏) 이인(里仁) 4-25] 덕불고(德不孤): 덕은 항상 외롭지 않다 (0) | 2025.02.18 |
[논어주소(論語注疏) 이인(里仁) 4-23] 이약실지(以約失之): 검소해서 잃는 일은 드물다 (0) | 2025.02.18 |
[논어주소(論語注疏) 이인(里仁) 4-22] 언지불출(言之不出): 말을 함부로 하지 않는다 (0) | 2025.02.18 |
[논어주소(論語注疏) 이인(里仁) 4-21] 일즉이희 일즉이구(一則以喜 一則以懼): 부모의 나이를 기억하면 기쁘기도 하고 슬프기도 하다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