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游曰: "事君數, 斯辱矣. 朋友數, 斯疏矣." [數, 謂速數之數.]
子游曰: "임금을 모시면서(事君) <충고가> 잦으면(數), 그러면 치욕을 당한다(斯辱矣). 벗을 사귀면서 충고가 잦으면(朋友數), 그러면 멀어진다(斯疏矣)." [삭은(數), 빨리 주자의 삭이다(謂速數之數).]
【疏】'子游曰: 事君數, 斯辱矣. 朋友數, 斯疏矣'.
【疏】자유왈 사군삭 사욕의 붕우삭 사소의('子游曰: 事君數, 斯辱矣. 朋友數, 斯疏矣'.)
○正義曰: 此章明爲臣結交, 當以禮漸進也. 數, 謂速數. 數則瀆而不敬, 故事君數, 斯致罪辱矣;朋友數, 斯見疏薄矣.
○正義曰: 이 장은(此章) 신하가 되어(爲臣) 교제를 맺는 것을(結交) 밝혔고(明), 마땅히(當) 예로(以禮) 점차 나아가야 한다(漸進也). 삭은(數), 빠르고 자주 하는 것을 말한다(謂速數). 자주 하면(數則) 번거롭고(瀆而) 공경스럽지 않고(不敬), 그러므로(故) 임금을 섬기면서 자주 하면(事君數), 이에(斯) 죄와 치욕을 부르고(致罪辱矣); 벗을 사귀면서 자주 하면(朋友數), 이에(斯) 멀어지고 박함을 당한다(見疏薄矣).
○注'數, 謂速數之數'. ○正義曰: 嫌讀爲上聲去聲, 故辨之.
○주 수위속삭지삭(注'數, 謂速數之數'.)
○正義曰: 읽는 것이(讀) 상성이나 거성이 되는 것을(爲上聲去聲) 꺼렸고(嫌), 그러므로 구분했다(故辨之).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주소(論語注疏)'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주소(論語注疏) 공야장(公冶長) 5-2] 방유도불폐(邦有道不廢): 남용은 현명했다 (0) | 2025.02.21 |
---|---|
[논어주소(論語注疏) 공야장(公冶長) 5-1] 누설지중(縲絏之中): 그 사람의 죄가 아니다 (0) | 2025.02.20 |
[논어주소(論語注疏) 이인(里仁) 4-25] 덕불고(德不孤): 덕은 항상 외롭지 않다 (0) | 2025.02.18 |
[논어주소(論語注疏) 이인(里仁) 4-24] 눌어언민어행(訥於言敏於行): 말은 굼뜨게 하지만 행동은 빠르게 한다 (0) | 2025.02.18 |
[논어주소(論語注疏) 이인(里仁) 4-23] 이약실지(以約失之): 검소해서 잃는 일은 드물다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