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張問政.(자장문정) 子曰: “居之無倦, 行之以忠.”(거지무권 행지이충)
자장이(子張) 정치를 물었다(問政). '
子曰: “마음에 두는 것을(居之) 게으름이 없도록 하고(無倦), 실천하는 것을(行之) 진심으로 해라(以忠).”
居, 謂存諸心. 無倦, 則始終如一. 行, 謂發於事. 以忠, 則表裏如一.
거는(居), 마음에 보존한 것을 말한다(謂存諸心). 무권이면(無倦, 則) 처음과 끝이(始終) 같다(如一). 행은(行), 일에 드러난 것을 말한다(謂發於事). 진심으로 하면(以忠, 則) 겉과 속이(表裏) 같다(如一).
○ 程子曰: “子張少仁. 無誠心愛民, 則必倦而不盡心, 故告之以此.”
○ 程子曰: “자장은(子張) 인이 적었다(少仁). 진실한 마음으로(誠心) 백성을 사랑하는 것이 없으면(無愛民, 則) 반드시(必) 게을러서(倦而) 마음을 다하지 않고(不盡心), 그러므로(故) 이것을 일러주셨다(告之以此).”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16] 성인지미(成人之美) / 군자는 남의 아름다움을 더욱 빛나게 한다 (0) | 2024.09.12 |
---|---|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15] 박문약례(博文約禮) / 널리 배우고 예로써 요약해라 (0) | 2024.09.12 |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13] 필야사무송호(必也使無訟乎) / 소송이 없는 세상을 만들겠다 (0) | 2024.09.12 |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12] 편언절옥(片言折獄) / 자로의 뛰어난 판단력과 믿음을 주는 행동 (0) | 2024.09.12 |
[논어집주(論語集注) 안연(顔淵) 12-11] 군군신신 부부자자(君君臣臣 父父子子) / 자기 본분에 맞게 살아라 (0) | 2024.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