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王之爲世子, 朝於王季日三. 鷄初鳴而衣服. 至於寢門外, 問內竪之御者曰, 今日安否何如. 內竪曰, 安, 文王乃喜. 及日中又至, 亦如之. 及莫又至, 亦如之.
문왕이(文王之) 세자가 되어(爲世子), 왕계에게 조회한 것이(朝於王季) 하루 세 번이었다(日三). 닭이(鷄) 처음 울면(初鳴而) 옷을 갖춰 입고(衣服), 침실 문 밖에 이르러(至於寢門外), 내수의 모시는 사람에게 묻기를(問內竪之御者曰), 오늘(今日) 안부는(安否) 어떠한가(何如)라고 했다.
내수가 말하길(內竪曰), 편안하다(安)라고 하면, 문왕이 기뻐했다(文王乃喜). 한낮이 되어(及日中) 또 이르러(又至), 또한(亦) 그처럼 했다(如之). 저녁에(及莫) 또 이르러(又至), 또한 그처럼 했다(亦如之).
[集解] 陳氏曰內竪, 內庭之臣. 御, 是直日者. 世子朝父母, 惟朝夕二禮, 今文王日三, 聖人過人之行也.
[集解]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내수는(內竪), 내정의 신하다(內庭之臣). 어는(御), 이것은(是) 일직하는 사람이다(直日者). 세자가(世子) 부모에게 조회하는 것은(朝父母), 오직(惟) 아침과 저녁(朝夕) 두 번의 예가 있는데(二禮), 지금(今) 문왕이(文王) 하루에 세 번 했으니(日三), 성인이(聖人) 사람들의 행실을(人之行) 넘어선 것이다(過也).
其有不安節, 則內竪以告文王, 文王色憂, 行不能正履. 王季復膳然後亦復初. 食上, 必在視寒暖之節, 食下, 問所膳, 命膳宰曰, 末有原, 應曰, 諾然後退.
그에게(其) 편안하지 않은 것이 있으면(有不安節, 則) 내수가(內竪) 문왕에게 고하고(以告文王), 문왕이 근심하는 기색을 띠고(文王色憂), 걷는 것이(行) 바르게 나아가지 못했다(不能正履). 왕계가(王季) 다시(復) 음식을 먹고 나서야(膳然後) 다시(亦) 처음으로 돌아갔다(復初). 음식을 올릴 때는(食上), 반드시(必) 차고 뜨거운 정도를(寒暖之節) 살피는 것이 있고(在視), 음식을 내릴 대는(食下), 먹은 양을 묻고(問所膳), 요리사에게 명하여 말하길(命膳宰曰), 남은 것이 있으면 다시 하지 말라고 하고(末有原), 응답하여 말하고 나서(應曰, 諾然) 물러났다(後退).
* 安節(안절): 탈이나 걱정이 없고 편안함. 웃어른의 건강 상태가 썩 좋음을 이르는 말이다.
[集解] 陳氏曰不安節, 謂有疾, 不能循其起居飮食之常時也. 食上, 進膳於親也. 在, 察也. 食下, 食畢而徹也. 問所膳, 問所食之多寡也. 末, 勿也, 原, 再也, 謂所食之餘, 不可再進也.
[集解]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불안절은(不安節), 병이 있고(有疾), 그 일상과(其起居) 음식이(飮食之) 평상시를(常時) 따르지 않는 것을(不能循) 말한다(謂也). 식상은(食上), 부모에게(於親) 음식을 올리는 것이다(進膳也). 재는 보는 것이다(在, 察也). 식하는(食下), 식사가 끝나고(食畢而) 거두는 것이다(徹也). 드신 것을 묻는 것은(問所膳), 먹은 것이 많은지 적은 지를(所食之多寡) 묻는 것이다(問也). 미는 물이고(末, 勿也), 원은 다시아니(原, 再也), 음식의 남은 것을(所食之餘), 다시 올리지 않는 것을(不可再進) 말한다(謂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