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飯疏食飮水, 曲肱而枕之, 樂亦在其中矣.(반소식음수 곡굉이침지 낙역재기중의)
子曰: “거친 음식을 먹고(飯疏食) 물 마시고(飮水), 팔 굽혀(曲肱而) 베고 지내니(枕之), 즐거움이 또한(樂亦) 그 가운데 있다(在其中矣).
* 疏食(소사): 거친 음식
○ 飯, 食之也. 疏食, 麤飯也. 聖人之心, 渾然天理, 雖處困極, 而樂亦無不在焉.
○ 반은(飯), 먹는 것이다(食之也). 소사는(疏食), 좋지 않은 밥이다(麤飯也). 성인의 마음은(聖人之心), 한 덩어리의 천리이고(渾然天理), 비록(雖) 극한 곤궁함에 처하더라도(處困極, 而) 즐거움이(樂) 또한(亦) 있지 않은 곳이 없다(無不在焉).
* 麤飯(추반): 깨끗이 쓿지 아니한 입쌀이나 잡곡(雜穀) 쌀로 지은 밥.
不義而富且貴, 於我如浮雲.”(불의이부차귀 어아여부운)
의롭지 않으면서(不義而) 부유하고 귀한 것은(富且貴), 나에게(於我) 뜬구름과 같다(如浮雲).”
其視不義之富貴, 如浮雲之無有, 漠然無所動於其中也.
그가(其) 의롭지 않은 부귀를 보는 것이(視不義之富貴), 뜬구름의(浮雲之) 일정함이 없는 것처럼 여기고(如無有), 막연히(漠然) 마음에 움직이는 것이 없다(無所動於其中也).
○ 程子曰: “非樂疏食飮水也, 雖疏食飮水, 不能改其樂也. 不義之富貴, 視之輕如浮雲然.”
○ 程子曰: “거친 밥과 물 마시는 것을(疏食飮水也) 즐기는 것이 아니라(非樂), 비록(雖) 거친 밥과 물 마시는 것이라도(疏食飮水), 그 즐거움을 바꿀 수 없다(不能改其樂也). 의롭지 않은 부귀는(不義之富貴), 보는 것이(視之) 뜬구름처럼 가볍게 여긴다(輕如浮雲然).”
又曰: “須知所樂者何事.”
又曰: “모름지기(須) 즐기는 것이(所樂者) 무슨 일인지를(何事) 알아야 한다(知).”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17] 아언(雅言) / 바른 말 고운 말 아름다운 말 (0) | 2024.07.18 |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16] 가아수년(假我數年) / 주역을 배운다면 큰 허물이 없을 것이다 (0) | 2024.07.18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14] 구인득인(救仁得仁) / 인을 구했다가 인을 얻었다 (0) | 2024.07.17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13] 부지육미(不知肉味) / 소악을 배우느라 고기 맛을 잊다 (0) | 2024.07.17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12] 제전질(齊戰疾) / 공자가 조심한 일 (0) | 202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