葉公問孔子於子路, 子路不對.(섭공문공자어자로 자로부대)
섭공이(葉公) 자로에게(於子路) 공자에 대해 묻자(問孔子), 자로가 대답하지 않았다(子路不對).
○ 葉公, 楚葉縣尹沈諸梁, 字子高, 僭稱公也. 葉公不知孔子, 必有非所問而問者, 故子路不對. 抑亦以聖人之德, 實有未易名言者與?
○ 섭공은(葉公), 초나라 섭현의(楚葉縣) 수령(尹) 심저량이고(沈諸梁), 자는 자고인데(字子高), 공을 참칭했다(僭稱公也). 섭공이(葉公) 공자를 알지 못하고(不知孔子), 반드시(必) 묻지 않을 것인데(非所問而) 물은 것이 있었고(有問者), 그러므로(故) 자로가 대답하지 않았다(子路不對). 아니면(抑) 또한(亦) 성인의 덕에(以聖人之德), 실제로(實) 쉽게 이름 붙여 말할 수 없는 것이 있기 때문인가(有未易名言者與)?
子曰: “女奚不曰, 其爲人也, 發憤忘食, 樂以忘憂, 不知老之將至云爾.”(여해불왈 기위인야 발분망식 락이불우 부지노지장지운이)
子曰: “너는(女) 어찌(奚), 그 사람됨이(其爲人也), 발분하면(發憤) 밥 먹기를 잊고(忘食), 즐거움으로(樂以) 걱정을 잊어서(忘憂), 늙음이(老之) 장차 다가오는 것을(將至) 알지 못한다고(不知云爾) 말하지 않았느냐(不曰).”
* 發憤(발분): 마음과 힘을 다하여 떨쳐 일어남.
未得, 則發憤而忘食; 已得, 則樂之而忘憂. 以是二者俛焉日有孶孶, 而不知年數之不足, 但自言其好學之篤耳. 然深味之, 則見其全體至極, 純亦不已之妙, 有非聖人不能及者. 蓋凡夫子之自言類如此, 學者宜致思焉.
얻지 못하면(未得, 則) 떨쳐 일어나서(發憤而) 밥 먹는 것으 ㄹ잊고(忘食); 얻고 나면(已得, 則) 즐기면서(樂之而) 걱정을 잊는다(忘憂). 이 때문에(以是) 두 가지를 힘써서(二者俛焉) 날마다(日) 부지런함이 있어서(有孶孶, 而) 남은 해가 부족한 것을 알지 못하고(不知年數之不足), 다만(但) 그 배우기를 좋아하는 것이 독실하다고(其好學之篤) 스스로 말할 뿐이다(自言耳). 그러나(然) 그것을 깊이 음미한다면(深味之, 則) 그 전체가 매우 지극하고(其全體至極), 순수하지만(純) 또한(亦) 그만두지 않는 묘리가(不已之妙), 성인이 아니면(非聖人) 미칠 수 없는 것이 있음을(有不能及者) 알 수 있다(見). 대체로(蓋凡) 부자가 스스로 말한 것들이(夫子之自言) 이와 같으니(類如此), 학자는(學者) 마땅히(宜) 깊이 생각해야 한다(致思焉).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20] 괴력난신(怪力亂神) / 공자가 말하지 않은 네 가지 (0) | 2024.07.19 |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19] 생이지지(生而知之) / 옛것을 좋아하고 부지런히 찾는 사람이다 (0) | 2024.07.19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17] 아언(雅言) / 바른 말 고운 말 아름다운 말 (0) | 2024.07.18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16] 가아수년(假我數年) / 주역을 배운다면 큰 허물이 없을 것이다 (0) | 2024.07.18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15] 낙재기중(樂在其中) / 나에게 뜬구름과 같다 (0) | 2024.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