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有德者必有言, 有言者不必有德;(유덕자 필유언 유언자불필유덕)
子曰: “덕이 있는 사람에게(有德者) 반드시(必) 말이 있지만(말을 잘하지만)(有言), 말을 잘하는 사람에게(有言者) 반드시 덕이 있지 않고(不必有德);
有德者, 和順積中, 英華發外. 能言者, 或便佞口給而已.
유덕자는(有德者), 온화하고 순한 것이(和順) 마음에 쌓여(積中), 화려한 것이(英華) 바깥에 드러난다(發外). 말을 잘하는 사람은(能言者), 혹(或) 말재주가 좋은 것일 뿐일 수 있다(便佞口給而已).
* 便佞(편녕): 말로는 모든 일을 잘할 것 같이 하나 실상(實相)이 없음.
仁者必有勇, 勇者不必有仁.”(인자필유용 용자불필유인)
인한 사람에게는(仁者) 반드시 용기가 있지만(必有勇), 용기 있는 사람에게(勇者) 반드시 인이 있는 것은 아니다(不必有仁).”
仁者, 心無私累, 見義必爲. 勇者, 或血氣之强而已.
인한 사람은(仁者), 마음에(心) 사사로이 묶인 것이 없고(無私累), 의를 보면(見義) 반드시 행한다(必爲). 용감한 사람은(勇者), 혹(或) 혈기가(血氣之) 강한 것일 뿐일 수 있다(强而已).
○ 尹氏曰: “有德者必有言, 徒能言者未必有德也. 仁者志必勇, 徒能勇者未必有仁也.”
○ 尹氏曰: “유덕자에게는(有德者) 반드시 말을 잘하는 것이 있지만(必有言), 다만(徒) 말을 잘하는 사람은(能言者) 반드시 덕이 있지 않고(未必有德也). 인한 사람은(仁者) 뜻이 반드시 용감하지만(志必勇), 다만(徒) 용감한 사람에게(能勇者) 반드시 인이 있지 않다(未必有仁也).”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7] 군자이면서 인하지 못한 사람 (0) | 2024.09.23 |
---|---|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6] 군자재약인(君子哉若人) / 군자다운 남궁괄의 모습 (0) | 2024.09.22 |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4] 위언위행(危言危行) / 군자의 몸가짐과 말하는 방법 (0) | 2024.09.22 |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3] 사이회거(士而懷居) / 선비는 편안함에 안주하면 안된다 (0) | 2024.09.21 |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2] 극벌원욕(克伐怨欲) / 빗나간 욕망 넷을 버리면 인한가요? (0) | 2024.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