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路問君子. 子曰: “脩己以敬.”(자로문군자 자왈 수기이경)
자로가(子路) 군자를 물었다(問君子).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경으로써(以敬) 몸을 닦는다(脩己).”
脩己以敬, 夫子之言至矣盡矣.
수기이경은(脩己以敬), 부자의 말이(夫子之言) 지극하고(至矣) 다했다(盡矣).
曰: “如斯而已乎?”(왈 여사이이호) 曰: “脩己以安人.”(왈 수기이안인)
<자로가> 말하길(曰): “이와 같다면(如斯而) 그뿐인가요(已乎)?”
<공자가> 말씀하시길(曰): “자기를 닦아서(脩己以) 남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다(安人).”
而子路少之, 故再以其充積之盛, 自然及物者告之, 無他道也. 人者, 對己而言.
그러나(而) 자로가(子路) 그것을 하찮게 여겼고(少之), 그러므로(故) 다시(再) 그 차고 쌓인 성대함으로(以其充積之盛), 자연스럽게(自然) 만물에 미치는 것으로(及物者) 일러주었으니(告之), 다른 도가 없다(無他道也). 인이란(人者), 자기와 상대되는 것으로(對己而) 말한 것이다(言).
曰: “如斯而已乎?”(왈 여사이이호) 曰: “脩己以安百姓.(왈 수기이안백성) 脩己以安百姓, 堯舜其猶病諸!”(수기이안백성 요순기유병저)
<자로가> 말하길(曰): “이와 같으면(如斯而) 그뿐인가요(已乎)?”라고 했다.
<선생님이> 말씀하시길(曰): “자기를 닦아서(脩己以)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다(安百姓). 자기를 닦아서(脩己以)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것은(安百姓), 요순도(堯舜) 아마(其) 오히려(猶) 病諸!”
百姓, 則盡乎人矣. 堯舜猶病, 言不可以有加於此. 以抑子路, 使反求諸近也. 蓋聖人之心無窮, 世雖極治, 然豈能必知四海之內, 果無一物不得其所哉? 故堯舜猶以安百姓爲病. 若曰‘吾治已足’, 則非所以爲聖人矣.
백성은(百姓, 則) 사람에서 끝까지 한 것이다(盡乎人矣). 요순유병은(堯舜猶病), 이것에(於此) 더할 것이 있을 수 없다는(不可以有加) 말이다(言). 이것으로(以) 자로를 눌러서(抑子路), 돌이켜(反) 가까운 것에서 구하도록 했다(使求諸近也). 대체로(蓋) 성인의 마음에(聖人之心) 다함이 없고(無窮), 세상이(世) 비록(雖) 잘 다스려졌더라도(極治), 그러나(然) 어찌(豈) 반드시(必) 사해 안에서(四海之內), 과연(果) 사물 하나라도(一物) 자기 자리를 얻지 못함이 없다고(無不得其所) 알 수 있겠는가(能知哉)? 그러므로(故) 요순도(堯舜) 오히려(猶) 벽성을 편안하게 하는 것을(以安百姓) 어렵게 여겼다(爲病). 만약(若) 내 다스림이 이미 충분하다고(‘吾治已足’) 말한다면(曰, 則) 성인이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非所以爲聖人矣).
○ 程子曰: “君子脩己以安百姓, 篤恭而天下平. 惟上下一於恭敬, 則天地自位, 萬物自育, 氣無不和, 而四靈畢至矣. 此體信達順之道, 聰明睿知皆由是出, 以此事天饗帝.”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47] 궐당동자(闕黨童子) / 빨리 이루려고 하지 마라 (0) | 2024.09.26 |
---|---|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46] 원양이사(原壤夷俟) / 오랜 친구 원양을 만나다 (0) | 2024.09.26 |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44] 상호례(上好禮) / 윗사람이 예를 좋아하면 (0) | 2024.09.26 |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43] 삼년불언(三年不言) / 삼 년 동안 말을 하지 않은 이유 (0) | 2024.09.26 |
[논어집주(論語集注) 헌문(憲問) 14-42] 深厲淺揭(심려천게) / 세상에 어려울 것이 없는 사람이다 (0) | 2024.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