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집주(論語集注)

[논어집주(論語集注) 위령공(衛靈公) 15-9] 필선이기기(必先利其器) / 현명한 사람을 섬기고 인한 사람을 사귀어라

by मोक्ष 2024. 9. 30.
반응형

子貢問爲仁.(자공문위인) 子曰: “工欲善其事, 必先利其器.(공욕선기사 필선이기기) 居是邦也, 事其大夫之賢者, 友其士之仁者.”(거시방야 사기대부지현자 우기사지인자)

자공이(子貢) 인을 실천하는 것을 물었다(問爲仁).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공인이(工) 그 일을(其事) 잘하려고 하면(欲善), 반드시(必) 그 도구를(其器) 먼저 날카롭게 한다(先利). 어느 나라에 머물면서(居是邦也), 그 대부 가운데(其大夫之) 현명한 사람을(賢者) 섬기고(事), 그 사 가운데(其士之) 인한 사람을(仁者) 사귀어라(友).”

賢以事言, 仁以德言. 夫子嘗謂子貢悅不若己者, 故以是告之, 欲其有所嚴憚切磋以成其德也.

현명함은(賢) 일로써(以事) 말한 것이고(言), 인은(仁) 덕으로써 말한 것이다(以德言). 부자가(夫子) 일찍이(嘗) 자공이(子貢) 자기만 못한 사람을(不若己者) 좋아한다고(悅) 말했고(謂), 그러므로(故) 이것으로(以是) 일러주어(告之), 그에게(其) 두려워하고 꺼리고(嚴憚) 절차탁마하는 것이 있어서(有所切磋以) 그 덕을 이루기를(成其德) 바란 것이다(也).

○ 程子曰: “子貢問爲仁, 非問仁也, 故孔子告之以爲仁之資而已.”

○ 程子曰: “자공이(子貢) 인을 행하는 것을 물었고(問爲仁), 인을 물은 것이 아니고(非問仁也), 그러므로(故) 공자가(孔子) 인을 행하는 바탕을(以爲仁之資) 일러주었을 뿐이다(告之而已).”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