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夏曰: “百工居肆以成其事, 君子學以致其道.”(백공거사이성기사 군자학이치기도)
자하가 말하길(子夏曰): “모든 장인은(百工) 작업장에 있으면서(居肆以) 그 일을 이루고(成其事), 군자는(君子) 배워서(學以) 그 도를 끝까지 한다(致其道).”
肆, 謂官府造作之處. 致, 極也. 工不居肆, 則遷於異物而業不精. 君子不學, 則奪於外誘而志不篤.
사는(肆), 관부의(官府) 만드는 곳을(造作之處) 말한다(謂). 치는(致), 끝까지 함이다(極也). 장인이(工) 일터에 있지 않으면(不居肆, 則) 다른 물건에(於異物) <마음이> 옮겨가서(遷而) 일이 정밀하지 못하다(業不精). 군자가(君子) 배우지 않으면(不學, 則) 바깥 유혹에 빼앗겨서(奪於外誘而) 뜻이 독실하지 못하다(志不篤).
尹氏曰: “學所以致其道也. 百工居肆, 必務成其事. 君子之於學, 可不知所務哉?”
尹氏曰: “배움은(學) 그 도를 이루는 방법이다(所以致其道也). 백공이(百工) 작업장에 머물면서(居肆), 반드시(必) 그 일을 이루는 것에(成其事) 힘쓴다(務). 군자가(君子之) 배움에 대해(於學), 힘써야 할 것을(所務) 알지 못할 수 있겠는가(可不知哉)?”
愚按: 二說相須, 其義始備.
내가 생각건대(愚按): 두 설이(二說) 서로 따르고(相須), 그 뜻이(其義) 비로소(始) 갖춰진다(備).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자장(子張) 19-9] 군자삼변(君子三變) / 군자의 세 가지 모습 (0) | 2024.10.09 |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장(子張) 19-8] 소인필문(小人必文) / 소인은 반드시 잘못을 포장한다 (0) | 2024.10.09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장(子張) 19-6] 절문근사(切問近思) / 절실하게 묻고 가까이 생각하라 (0) | 2024.10.09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장(子張) 19-5] 가위호학(可謂好學) / 이러면 배우기를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다 (0) | 2024.10.09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장(子張) 19-4] 치원공니(致遠恐泥) / 작은 기예는 원대한 도리에 방해가 된다 (0) | 2024.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