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曾子曰: “堂堂乎張也, 難與並爲仁矣.”(당당호장야 난여병위인의)
증자가 말하길(曾子曰): “당당하구나 자장이여(堂堂乎張也), 더불어(與) 함께 인을 행하기(並爲仁) 어렵다(難矣).”
堂堂, 容貌之盛. 言其務外自高, 不可輔而爲仁, 亦不能有以輔人之仁也.
당당은(堂堂), 용모가(容貌之) 성대한 것이다(盛). 그가(其) 바깥에 힘쓰고(務外) 자기를 높게 여기므로(自高), 보완해서(輔而) 인을 행할 수 없고(不可爲仁), 또(亦) 남의 인을(人之仁) 보완할 수 없다는(不能有以輔) 말이다(言也).
○ 范氏曰: “子張外有餘而內不足, 故門人皆不與其爲仁. 子曰: ‘剛, 毅, 木, 訥近仁.’ 寧外不足而內有餘, 庶可以爲仁矣.”
○ 范氏曰: “자장은(子張) 외형에(外) 넉넉함이 있지만(有餘而) 내면이 부족하고(內不足), 그러므로(故) 문인이(門人) 모두(皆) 그와 함께 인을 할 수 없었다(不與其爲仁). 선생님이 말하길(子曰): ‘강하고, 굳세고, 질박하고, 어눌한 것이 인에 가깝다(剛, 毅, 木, 訥近仁).’라고 했다. 차라리(寧) 외형이 부족하고(外不足而) 내면에 여유가 있었다면(內有餘), 거의(庶) 인을 할 수 있었을 것이다(可以爲仁矣).”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자장(子張) 19-18] 공자가 맹장자의 효를 칭찬했다 (0) | 2024.10.10 |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장(子張) 19-17] 필야친상(必也親喪) / 자기를 다하는 경우가 있다면 부모의 상일 것이다 (0) | 2024.10.10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장(子張) 19-15] 위난능야 미인(爲難能也 未仁) / 자장은 인하지 않다 (0) | 2024.10.09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장(子張) 19-14] 치호애이지(致乎哀而止) / 상례는 슬픔이 지극해야 한다 (0) | 2024.10.09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장(子張) 19-13] 벼슬하고 배우는 것은 같이 간다 (0) | 2024.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