曾子曰, 君子所貴乎道者三.(군자소귀호도자삼) 動容貌斯遠暴慢矣, 正顔色斯近信矣, 出辭氣斯遠鄙倍矣.(동용모사원폭만의 정안색사근신의 출사기사원비패의)
증자가 말하길(曾子曰), 군자가(君子) 도에서(乎道) 귀하게 여기는 것이(所貴者) 셋이다(三). 몸을 움직이면(動容貌斯) 포악하고 방자한 태도를 멀리하고(遠暴慢矣), 안색을 바르게 할 때는(正顔色斯) 진실함에 가깝게 하고(近信矣), 말을 내뱉을 때는(出辭氣斯) 비루하고 어긋나는 것을 멀리한다(遠鄙倍矣).
[集說] 朱子曰貴, 猶重也. 容貌, 擧一身而言. 暴, 粗厲也, 慢, 放肆也. 信, 實也, 正顔色而近信, 則非色莊也. 辭, 言語, 氣, 聲氣也. 鄙, 凡陋也, 倍, 與背同, 謂背理也. 言道雖無所不在, 然君子所重者, 在此三事而已. 是皆修身之要, 爲政之本, 學者所當操存省察而不可有造次顚沛之違者也.
[集說] 주자가 말하길(朱子曰) 귀는(貴), 중요함과 같다(猶重也). 용모는(容貌), 온몸을 들어서(擧一身而) 말한 것이다(言). 포는(暴), 거친 것이고(粗厲也), 만은(慢), 제멋대로 하는 것이다(放肆也). 신은 진실함이니(信, 實也), 안색을 바르게 하여(正顔色而) 진실함에 가까우면(近信, 則) 얼굴빛만 엄숙한 것이 아니다(非色莊也). 사는 말이고(辭, 言語), 기는 소리의 기운이다(氣, 聲氣也). 비는 평범하고 비루한 것이고(鄙, 凡陋也), 패는 배와 같고(倍, 與背同), 이치에 어긋남을 말한다(謂背理也). 도가 비록(言道雖) 있지 않은 곳이 없지만(無所不在), 그러나(然) 군자가(君子)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所重者), 이 세 가지 일에 있을 뿐이다(在此三事而已). 이것은(是) 모두(皆) 수신의 요체이고(修身之要), 정치의 근본이니(爲政之本), 학자는(學者) 마땅히(所當) 잡아 살펴서(操存省察而) 잠시의(造次顚沛之) 어긋나는 것이라도(違者) 있을 수 없다(不可有也).
[正誤] 人之容貌, 鮮得和平, 稟氣之剛者, 多失之粗厲, 稟氣之柔者, 多失之放肆. 故於動容貌之時, 卽當遠夫粗厲放肆而必致身於和平, 人之顔色, 鮮得表裏如一, 務於外飾者, 色雖厲而內則荏. 故於正顔色之時, 卽當近乎信實而不可務乎色莊, 人之辭氣, 鮮得適中, 言之甚近者, 凡陋不足聽, 論之甚高者, 荒誕不可詰. 故於出辭氣之時, 卽當遠乎凡陋背理而必發言之無弊, 此朱子改先註修身之驗, 爲修身之要之意, 深得曾子切己用力之旨.
[正誤] 사람의 용모는(人之容貌), 화평을 얻은 사람이(得和平) 드물고(鮮), 받은 기가(稟氣之) 강한 사람은(剛者), 대부분(多) 그것을 잃고(失之) 거칠어지고(粗厲), 받은 기가(稟氣之) 약한 사람은(柔者), 대부분(多) 그것을 잃고(失之) 제멋대로다(放肆). 그러므로(故) 몸을 움직일 때(於動容貌之時), 마땅히(卽當) 거칠고 제멋대로인 것을(夫粗厲放肆) 멀리하고(遠而) 반드시(必) 몸을(身) 화평에(於和平) 이르도록 하고(致), 사람의 안색은(人之顔色), 겉과 속이 한결같은 사람이(得表裏如一) 드물고(鮮), 겉치장에 힘쓰는 사람은(務於外飾者), 안색이 비록(色雖) 거칠어도(厲而) 안은 연약하다(內則荏). 그러므로(故) 안색을 바르게 할 때에(於正顔色之時), 마땅히(卽當) 신실함에 가깝고(近乎信實而) 얼굴빛만 장엄한 것에(乎色莊) 힘쓰지 말아야 하고(不可務), 사람의 말은(人之辭氣), 알맞게 하는 사람이 드물고(鮮得適中), 말이 매우 가까운(친근한) 사람은(言之甚近者), 평범하고 비루해서(凡陋) 듣기에 부족하고(不足聽), 의론이(論之) 매우 높은 사람은(甚高者), 허황되어(荒誕) 따질 수 없다(不可詰). 그러므로(故) 말을 할 때에(於出辭氣之時), 마땅히(卽當) 비루하고(乎凡陋) 이치에 어긋나는 것을(背理) 멀리하고(遠而) 반드시(必) 말을 내는 것에(發言之) 폐단이 없어야 하니(無弊), 이것은(此) 주자가(朱子) 먼저(先) 몸을 닦는 효험이라고 주석한 것을(註修身之驗) 고쳐서(改), 수신의 요체가 된다고 한(爲修身之要之) 뜻이니(意), 증자가(曾子) 자기에게 절실하게 해서(切己) 공부한 뜻을(用力之旨) 깊이 얻었다(深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