樂記曰, 君子姦聲亂色, 不留聰明, 淫樂慝禮, 不接心術, 惰慢邪辟之氣, 不設於身體, 使耳目鼻口, 心知百體, 皆由順正, 以行其義.
악기에 이르길(樂記曰), 군자는(君子) 간사한 소리와(姦聲) 어지러운 색이(亂色), 듣고 보는 것에 머물지 않고(不留聰明), 음탕한 음악과(淫樂) 사특한 예가(慝禮), 마음에 접하지 않으면(不接心術), 태만하고 편벽한 기운이(惰慢邪辟之氣), 몸에 베풀어지지 않고(不設於身體), 눈, 귀, 코, 입, 마음의 지각, 온몸으로 하여금(使耳目鼻口, 心知百體), 모두(皆) 바름을 따르게 하고(由順正, 以) 의를 실천할 수 있다(行其義).
[集解] 眞氏曰君子之所以自養者, 無他. 內外交致其功而已. 故姦聲亂色, 不留聰明者, 所以養其外也, 淫樂慝禮, 不接心術者, 所以養其內也. 外無聲色之誘, 則內亦正矣. 內無淫慝之惑, 則外亦正矣. 惰嫚之氣, 自內出者也. 邪僻之氣, 自外入者也, 二者, 不得設於身體, 則外而耳目鼻口四肢百體, 內而心知, 皆由順正, 以行其義, 顔子四勿之功, 可庶幾也.
[集解] 진씨가 말하길(眞氏曰) 군자가(君子之) 자기를 기르는 것은(所以自養者), 다른 것이 없다(無他). 안과 밖이 (內外) 번갈아(交) 그 공부를 다할 뿐이다(致其功而已). 그러므로(故) 간사한 소리와(姦聲) 어지러운 색이(亂色), 누과 귀에 머물지 않는 것은(不留聰明者), 그 밖을 기르는 방법이고(所以養其外也), 음탕한 음악과 사특한 예가(淫樂慝禮), 마음 쓰는 것에 접하지 않는 것은(不接心術者), 그 안을 기르는 방법이다(所以養其內也). 바깥에(外) 소리와 색의 유혹이 없으면(無聲色之誘, 則) 안도 또한 바르게 된다(內亦正矣). 안에(內) 음탕하고 사특한 유혹이 없으면(無淫慝之惑, 則) 바깥도 바르게 된다(外亦正矣). 게으르고 거만한 기운은(惰嫚之氣), 안으로부터(自內) 나오는 것이다(出者也). 간사하고 치우친 기운은(邪僻之氣), 밖으로부터 들어오는 것이다(自外入者也), 두 가지가(二者), 몸에(於身體) 베풀어질 수 없으면(不得設, 則) 밖으로(外而) 눈과 귀, 코, 입, 사지, 온몸이(耳目鼻口四肢百體), 안으로(內而) 마음의 지각이(心知), 모두(皆) 바름을 따라서(由順正, 以) 그 의를 행하니(行其義), 안자의(顔子) 네 가지 금지하는 공부를(四勿之功), 바랄 수 있다(可庶幾也).
'오서(五書) 읽기 > 소학집주(小學集註)'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학집주(小學集註) 경신(敬身) 명심술(明心術) 3-12] 외위여질 종회여류 견회사위(畏威如疾 從懷如流 見懷思威) (0) | 2024.10.23 |
---|---|
[소학집주(小學集註) 경신(敬身) 명심술(明心術) 3-11] 식무구포 거무구안(食無求飽 居無求安) (0) | 2024.10.23 |
[소학집주(小學集註) 경신(敬身) 명심술(明心術) 3-9] 예불유절 불침모 불호압(禮不踰節 不侵侮 不好狎) / 예는 절도를 넘지 않는다 (0) | 2024.10.23 |
[소학집주(小學集註) 경신(敬身) 명심술(明心術) 3-8] 군자소귀(君子所貴) / 군자가 귀하게 여기는 것 세 가지 (0) | 2024.10.22 |
[소학집주(小學集註) 경신(敬身) 명심술(明心術) 3-7] 군자유구사(君子有九思) (0) | 2024.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