伯兪有過, 其母笞之, 泣.(백유유과 기모태지 읍)
백유에게 잘못이 있어(伯兪有過), 그 어머니가(其母) 매질하자(笞之), 울었다(泣).
[集說] 陳氏曰: “伯兪, 姓韓, 名兪. 笞, 捶擊也. 泣, 涕出而無聲也.
[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백유는(伯兪), 성이 한이고 이름이 유다(姓韓, 名兪). 태는(笞), 때리는 것이다(捶擊也). 읍은(泣), 눈물이 나오지만(涕出而) 소리가 없는 것이다(無聲也).
其母曰, 他日笞子, 未嘗泣, 今泣何也. 對曰, 兪得罪笞常痛. 今母之力不能使痛. 是以泣.
그 어미니가 말하길(其母曰), 전에(他日) 너를 때릴 때는(笞子), 일찍이 울지 않았는데(未嘗泣), 지금(今) 우는 것은(泣) 어째서냐(何也)라고 했다.
대답하여 말하길(對曰), 제가 잘못해서(兪得罪) 매를 맞으면(笞) 늘 아팠습니다(常痛). 지금은(今) 어머니의 힘이(母之力) 아프게 하지 못합니다(不能使痛). 이 때문에(是以) 웁니다(泣)라고 했다.
伯兪之泣, 悲母力之衰耳, 事見『說苑』.”
백유의 눈물은(伯兪之泣), 어머니의 힘이 쇠약한 것을(母力之衰) 슬퍼한 것이니(悲耳), 일이(事) 설원에 보인다(見『說苑』).”
故曰, 父母怒之, 不作於意. 不見於色,(부모노지 부작어의 불견어색)
그러므로 말하길(故曰), 부모가(父母) 화를 내면(怒之), 마음에 두지 않고(不作於意), 얼굴빛에 보이지 않으며(不見於色),
[集說] 陳氏曰: “故曰以下, 劉向論也.”
[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고왈 이하는(故曰以下), 유향이(劉向) 논한 것이다(論也).”
深受其罪, 使可哀憐上也. 父母怒之, 不作於意. 不見於色, 其次也. 父母怒之, 作於意. 見於色下也.
그 죄를(其罪) 깊이 받아들여(深受), 가엾게 여기도록 하는 것이(使可哀憐) 최상이다(上也). 부모가 노하면(父母怒之), 마음에 담아두지 않고(不作於意), 얼굴에 드러내지 않는 것이(不見於色), 그다음이다(其次也). 부모가 노하면(父母怒之), 마음에 담아 두고(作於意), 얼굴에 드러내는 것이(見於色) 최하다(下也).
'오서(五書) 읽기 > 소학집주(小學集註)'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학집주(小學集註) 계고(稽古) 명륜(明倫) 4-18] 소련대련(少連大連) (0) | 2024.11.05 |
---|---|
[소학집주(小學集註) 계고(稽古) 명륜(明倫) 4-17] 삼년부독서(三年不讀書) / 공명선이 배우는 방법 (0) | 2024.11.03 |
[소학집주(小學集註) 계고(稽古) 명륜(明倫) 4-15] 악정자춘이 근심하는 이유 (0) | 2024.11.03 |
[소학집주(小學集註) 계고(稽古) 명륜(明倫) 4-14] 노래지희(老萊之戱) / 나이 일흔에 색동옷을 입은 노래자 (0) | 2024.11.03 |
[소학집주(小學集註) 계고(稽古) 명륜(明倫) 4-13] 효재민자건(孝哉閔子騫) / 효성스럽구나 민자건이여! (0) | 2024.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