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早婚少聘, 敎人以偸.(조혼소빙 교인이투) 妾媵無數, 敎人以亂.(첩등무수 교인이란) 且貴賤有等. 一夫一婦, 庶人之職也.(차귀천유등 일부일처 서인지직야)
일찍 결혼하고(早婚) 어려서 장가가는 것은(少聘), 사람들을(人) 경박함으로(以偸) 가르치는 것이다(敎). 첩과 잉첩에(妾媵) 숫자가 없는 것은(無數), 사람에게 혼란을 가르치는 것이다(敎人以亂). 또(且) 귀천에는(貴賤) 등급이 있다(有等). 일부일처는(一夫一婦), 서인의(庶人之) 직분이다(職也).
[集說] 陳氏曰偸, 薄也. 媵, 從嫁者. 亂, 眞氏謂內或陷子弟於惡, 外或生僮僕之變, 是也. 等, 謂妾媵之等數.
[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투는 경박함이다(偸, 薄也). 등은 시집올 때 따라온 사람이다(媵, 從嫁者). 란은(亂), 진씨가 이르길(眞氏謂) 안에서(內) 자제를 악에 빠뜨리기도 하고(或陷子弟於惡), 밖에서(外) 종들의 변란이 생기기도 하는 것이(或生僮僕之變), 이것이다(是也). 등은(等), 첩과 잉첩의(妾媵之) 등급과 숫자를(等數) 말한다(謂).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소학집주(小學集註)'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명륜(廣明倫) 5-43] 여자를 시집 보내고 며느리를 맞이하는 법 (0) | 2024.11.26 |
---|---|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명륜(廣明倫) 5-42] 혼인에서 재물을 논하는 것이 아니다 (0) | 2024.11.26 |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명륜(廣明倫) 5-40] 혼인하면서 재물을 논하는 것은 오랑캐의 법도다 (0) | 2024.11.26 |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명륜(廣明倫) 5-39] 부부인륜대강(夫婦人倫大網) (0) | 2024.11.26 |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명륜(廣明倫) 5-38] 관직을 맡은 사람은 착실하도록 힘쓴다 (0) | 2024.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