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소학집주(小學集註)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명륜(廣明倫) 5-40] 혼인하면서 재물을 논하는 것은 오랑캐의 법도다

by मोक्ष 2024. 11. 26.
반응형

文中子曰, 婚娶而論財, 夷虜之道也, 君子不入其鄕.(문중자왈 혼취이논재 이로지도야 군자불입기향) 古者男女之族, 各擇德焉, 不以財爲禮.(고자남녀지족 각택덕언 불이재위례)

문중자가 말하길(文中子曰), 혼인하면서(婚娶而) 재물을 논하는 것은(論財), 오랑캐의 법도이니(夷虜之道也), 군자는(君子) 그 마을에 들어가지 않는다(不入其鄕). 옛날에는(古者) 남녀의 가죽이(男女之族), 각각(各) 덕을 택했고(擇德焉), 재물로 예를 삼지 않았다(不以財爲禮).

 

* 夷虜(이로): 오랑캐. 야만인.


[集說] 陳氏曰文中子, 姓王, 名通, 字仲淹, 隋之大儒也. 門人, 私諡曰文中子. 南方曰夷, 北方曰虜. 不入其鄕, 不與之共處也. 德, 謂男女之性行, 財, 謂男之聘財, 女之資裝.

[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문중자는(文中子), 성이 왕이고 이름은 통이며(姓王, 名通), 자는 중엄이고(字仲淹), 수나라의 대유다(隋之大儒也). 문인이(門人), 사사로이(私) 시호를 붙여(諡) 문중자라 했다(曰文中子). 남방을(南方) 이라 하고(曰夷), 북방을 로라 한다(北方曰虜). 불입기향은(不入其鄕), 그들과 함께(與之) 같이 머물지 않는 것이다(共處也). 덕은(德), 남녀의(男女之) 성품과 행실을(性行) 말하고(謂), 재는(財), 남자의 예물과(謂男之聘財), 여자의 물건을 말한다(女之資裝).

 

* 聘財(빙재): 중국 고대의 결혼 제도에서 신랑이 신부의 친정에 증여하던 재화(財貨).

* 資裝(자장): 몸을 꾸미거나 짐을 꾸리는 데 쓰이는 갖가지 물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