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소학집주(小學集註)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명륜(廣明倫) 5-46] 서로 멀어지면 풍속이 다르다

by मोक्ष 2024. 11. 27.
반응형

江東婦女, 略無交遊, 其婚姻之家, 或十數年間, 未相識者.(강동부녀 약무교유 기혼인지가 혹수십년간 미상식자) 唯以信命贈遺, 致慇懃焉.(유이신명증유 치은근언)

강동의(江東) 부녀자들은(婦女), 거의(略) 교류가 없어서(無交遊), 그(其) 혼인하는 집안도(婚姻之家), 혹(或) 수십 년간(十數年間), 서로 알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未相識者). 오직(唯) 안부를 전하고 선물을 보내는 것으로(以信命贈遺), 은근한 정에 이른다(致慇懃焉). 

 

* 贈遺(증유), 贈與(증여): 선사(膳賜)하여 줌.

* 慇懃(은근): 태도(態度)가 겸손(謙遜)하고 정중(鄭重)함, 은밀(隱密)하게 정(情)이 깊음.


[增註] 略無交遊, 絶不與外人往還也. 信命以言, 贈遺以物, 皆所以通慇懃之意.

[增註] 약무교유는(略無交遊), 전혀(絶) 외부인과(與外人) 가고 오지 않는 것이다(往還也). 신명은(信命) 말로써 하고(以言), 증유는(贈遺) 물건으로 하는 것이니(以物), 모두(皆) 은근한 정을 통한다는 뜻이다(所以通慇懃之意).

鄴下風俗, 專以婦持門戶, 爭訟曲直, 造請逢迎, 代子求官.(업하풍속 전이부지문호 쟁송곡직 조청봉영 대자구관) 爲夫訴屈. 此乃恒代遺風乎.(위부소굴 차내항대유풍호)

업하의(鄴下) 풍속은(風俗), 오로지(專) 부녀자로(以婦) 문호를 지키니(持門戶), 쟁송하여(爭訟) 시비를 가리고(曲直), 집에서 손님을 맞이하고(造請) 밖에서 만나고(逢迎), 자식을 대신하여(代子) 관직을 구하기도 하고(求官), 남편을 위해(爲夫) 억울함을 호소하기도 한다(訴屈). 이것이 바로(此乃) 항과 대의(恒代) 남겨진 풍속이다(遺風乎).


[集說] 陳氏曰鄴下, 古之相州. 造請, 謁人於外, 逢迎, 謂延客於家. 恒代, 燕趙之間地名. [集成] 陳氏曰千里不同風, 其氣有剛柔, 百里不同俗, 其習有善惡.

[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업하는(鄴下), 옛날 상주다(古之相州). 조청은(造請), 밖에서(於外) 사람을 만나는 것이고(謁人), 봉영은(逢迎), 집으로(於家) 손님을 불러들이는 것을 말한다(謂延客). 항대는(恒代), 연나라와 조나라의(燕趙之) 사이(間) 지명이다(地名).

[集成]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천 리가 멀면(千里) 풍속이 같지 않고(不同風), 그 기질에(其氣) 강과 유가 있으며(有剛柔), 백 리 멀어지면(百里) 습속이 같지 않으니(不同俗), 그 습속에(其習) 선악이 있다(有善惡).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