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董仲舒曰, 仁人者, 正其誼不謀其利, 明其道不計其功.(동중서왈 인인자 정기의불모기리 명기도불계기공)
동중서가 말하길(董仲舒曰), 인한 사람은(仁人者), 그 마땅함을 바르게 하고(正其誼) 그 이익을 도모하지 않으며(不謀其利), 그 도를 밝히고(明其道) 그 공을 따지지 않는다(不計其功).
[集解] 仲舒, 廣川人. 仁者, 心之德, 仁人者, 心無私欲而有其德者也. 義者, 心之制事之宜, 道者, 事物當然之理也. [增註] 朱子曰道, 是大綱說, 義, 是就一事上說. 正誼, 未嘗不利, 明道, 豈必無功? 但不先以功利爲心耳.
[集解] 중서는(仲舒), 광천 사람이다(廣川人). 인이란(仁者), 마음의 덕이고(心之德), 인인이란(仁人者), 마음에(心) 사욕이 없고(無私欲而) 그 덕이 있는 사람이다(有其德者也). 의란(義者), 마음의 제재이고(心之制) 일의 마땅함이며(事之宜), 도란(道者), 사물의(事物) 당연한 이치다(當然之理也).
[增註] 주자가 말하길(朱子曰) 도란(道), 곧(是) 큰 강령을 말한 것이고(大綱說), 의란(義), 바로(是) 하나의 일에 나아가(就一事上) 말한 것이다(說). 의를 바르게 하면(正誼), 일찍이 이롭지 않은 것이 없고(未嘗不利), 도를 밝히면(明道), 어찌(豈) 반드시(必) 공이 없겠는가(無功)? 다만(但) 먼저(先) 이익과 공을(以功利) 마음으로 삼지 않을 뿐이다(不爲心耳).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소학집주(小學集註)'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경신(廣敬身) 5-58] 종선여등(從善如登) - 선을 따르고 악을 피하라 (0) | 2024.12.02 |
---|---|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경신(廣敬身) 5-57] 담대한 마음을 크게 해라 (0) | 2024.12.02 |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명륜(廣明倫) 5-55] 집안 어른의 행동거지 (0) | 2024.12.02 |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명륜(廣明倫) 5-54] 범문정공이 종족을 보살피는 까닭 (0) | 2024.11.29 |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명륜(廣明倫) 5-53] 동료지계(同僚之契) / 동료의 의리는 형제의 의리와 같다 (0) | 2024.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