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道先生曰,(명도선생왈) 聖賢千語萬語, 只是欲人將已放之心約之, 使反復入身來.(성현천어만어 지시욕인장이방지심약지 사반복입신래) 自能向上去, 下學而上達也.(자능향상거 하학이상달야)
명도 선생이 말하길(明道先生曰), 성현의(聖賢) 천 마디 말과 만 마디 말은(千語萬語), 다만(只) 이것은(是) 사람들이 이미 놓아버린 마음을(人將已放之心) 거두어(約之), 다시 몸으로 돌아오게 하려는 것이다(欲使反復入身來). 스스로(自) 위를 향해서 가서(能向上去), 아래서 배워(下學而) 위로 통달하는 것이다(上達也).
[集說] 陳氏曰約, 猶收也. 下學而上達, 下學人事而上達天理也. 朱子曰所謂反復入身來, 不是將己縱出底, 收拾轉來. 只是知求, 則心便在, 便是反復入身來. 又曰能求放心, 則志氣淸明, 義理昭著, 而可以上達. [集成] 朱子曰求放心, 乃爲學根本田地, 能如此向上, 更做窮理工夫, 方見所存之心所具之理不是兩事. 隨應自然中節, 方是儒者事業.
[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약은 거둠과 같다(約, 猶收也). 하학이상달은(下學而上達), 아래로(下) 사람의 일을 배워서(學人事而) 위로(上) 하늘의 이치를 통달하는 것이다(達天理也).
주자가 말하길(朱子曰) 이른바(所謂) 몸으로 되돌아오게 하는 것은(反復入身來), 이미 풀어놓아(將己縱) 나간 것을(出底), 거두오 돌아오게 하는 것이(收拾轉來) 아니다(不是). 다만(只) 찾을 줄 알면(是知求, 則) 마음이(心) 바로 있고(便在), 바로 이것이(便是) 몸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것이다(反復入身來).
또 말하길(又曰) 놓아버린 마음을 찾을 수 있으면(能求放心, 則) 지가가 청명해지고(志氣淸明), 의리가 밝게 드러나서(義理昭著, 而) 위에 통달할 수 있다(可以上達).
[集成] 주자가 말하길(朱子曰) 놓아버린 마음을 찾는 것은(求放心), 바로(乃) 학문을 하는(爲學) 근본이고(根本) 터전이니(田地), 이와 같이(能如此) 위로 향해서(向上), 다시(更) 궁리공부를 해아(做窮理工夫), 바야흐로(方) 보존한 마음과(所存之心) 갖춘 이치가(所具之理) 바로 둘이 아님을(不是兩事) 볼 수 있다(見). 응하는 것을 따라(隨應) 자연스럽게(自然) 절도에 맞는 것이(中節), 바로(方是) 유자의 일이다(儒者事業).
'오서(五書) 읽기 > 소학집주(小學集註)'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경신(廣敬身) 5-65] 정제엄숙(整齊嚴肅) - 외면이 정돈되고 엄숙하면 내면이 전일해진다 (0) | 2024.12.05 |
---|---|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경신(廣敬身) 5-64] 마음은 몸 안에 있어야 한다 (0) | 2024.12.03 |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경신(廣敬身) 5-62] 중유희문과(仲由喜聞過) - 자로는 자기 잘못 듣기를 좋아했다 (0) | 2024.12.03 |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경신(廣敬身) 5-61] 성인지도(聖人之道) - 성인의 도가 작동하는 방식 (0) | 2024.12.03 |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경신(廣敬身) 5-60] 성인은 하늘을 바란다 (0) | 2024.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