顔氏家訓曰, 夫所以讀書學問, 本欲開心明目, 利於行耳.(안씨가훈왈 부소이독서학문 본욕개심명목 이어행이)
안씨가훈에 이르길(顔氏家訓曰), 무릇(夫) 책을 잃고(讀書) 학문하는(學問) 까닭은(所以), 본래(本) 마음을 열고 눈을 밝혀서(開心明目), 행실에(於行) 이롭게 하려는 것일 뿐이다(欲利耳).
[集解] 熊氏曰夫學, 在乎知行二者而已, 能知而不能行, 與不學同. 然欲行之, 必先知之也. 故必讀書學問, 開心明目而後, 可利於行耳.
[集解] 웅씨가 말하길(熊氏曰) 배움이란(夫學), 지와 행 두 가지에(乎知行二者) 있을 뿐이고(在而已), 잘 알지만(能知而) 잘 행하지 못하는 것은(不能行), 배우지 않은 것과(與不學) 같다(同). 그러나(然) 행하려고 하면(欲行之), 반드시(必) 먼저 알아야 한다(先知之也). 그러므로(故) 반드시(必) 책 잃고 학문하여(讀書學問), 마음을 열고 눈을 밝게 하고 나서(開心明目而後), 행실에 이로움이 있을 수 있다(可利於行耳).
未知養親者, 欲其觀古人之先意承顔,(미지양친자 욕기관고인지선의승안) 怡聲下氣, 不憚劬勞, 以致甘연, 惕然慙懼, 起而行之也.(이성하기 불탄구로 이치감연 척연암구 기이행지야)
부모를 봉양할 줄 알지 못하는 사람은(未知養親者), 옛사람이(其古人之) 뜻을 먼저 헤아리고(先意) 안색을 받들고(承顔), 목소리를 부드럽게 하고(怡聲) 기운을 낮추며(下氣), 수고를 꺼리지 않고(不憚劬勞), 달고 맛있는 것을 오리는 것을(以致甘연) 보고(觀), 부끄러워하고(惕然) 두려워하며(慙懼), 일어나(起而) 행하려고 해야 한다(欲行之也).
* 怡聲(이성): 부드러운 소리. 기쁜 목소리.
* 劬勞(구로): 병으로 고생함, 자식(子息)을 낳아 기르는 수고.
[集解] 人子養親, 先意而承順顔色, 怡聲而低下其氣, 所謂養志也, 不憚己之疲勞, 以營奉甘軟之飮食, 所謂養口體也, 此皆古人之所行者, 今因讀書學問而知之. 故必惕然慙懼, 興起而必欲行之也.
[集解] 자식이(人子) 부모를 봉양하는 것은(養親), 뜻을 앞세우고(先意而) 안색을 받들어 따르니(承順顔色), 소리를 부드럽게 하고(怡聲而) 그 기운을 낮추는 것을(低下其氣), 이른바(所謂) 뜻을 봉양한다고 한고(養志也), 자기의 피곤함을(己之疲勞) 꺼리지 않고(不憚, 以) 맛있고 좋은 음식을(甘軟之飮食) 드리는 것을(營奉), 이른바(所謂) 입과 몸을 봉양한다고 하니(養口體也), 이것은(此) 모두(皆) 옛사람이 행한 것이고(古人之所行者), 지금(今) 책을 읽고 학문을 해서(讀書學問而)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知之). 그러므로(故) 반드시(必) 근심하고 두려워하며(惕然) 부끄러워하고 두려워하며(慙懼), 분발해서(興起而) 반드시(必) 행하려는 것이다(欲行之也).
* 惕然(척연): 근심하고 두려워하는 모양(模樣).
* 慙懼(참구): 부끄러워하고 두려워함.
未知事君者, 欲其觀古人之守職無侵, 見危授命, 不忘誠諫, 以利社稷, 惻然自念, 思欲効之也.
임금을 모실 줄 모르는 사람은(未知事君者), 그 옛사람이(其古人之) 직책을 지키고(守職) 침해하는 일이 없으며(無侵), 위태로움을 보고 목숨을 바치고(見危授命), 진실한 간언을 잊지 않고(不忘誠諫, 以) 사직을 이롭게 하려는 것을(利社稷) 보고(觀), 애틋하게(惻然) 스스로 생각해서(自念), 그것을 본받으려고 한 것을(欲効之) 생각하려고 해야 한다(欲思也).
[增註] 守職, 有官守者修其職, 有言責者盡其忠也. 見危授命, 知有君而不知有身也.
[增註] 수직은(守職), 관직의 지킴을 가진 사람이(有官守者) 그 직책을 수행하고(修其職), 말의 책임을 가진 사람이(有言責者) 그 충성을 다하는 것이다(盡其忠也). 견위수명은(見危授命), 임금이 있는 것을 알고(知有君而) 자신이 있는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不知有身也).
素驕奢者, 欲其觀古人之恭儉節用, 卑以自牧, 禮爲敎本, 敬者身基, 瞿然自失, 斂容抑志也.
본래(素) 교만하고 사치스러운 사람은(驕奢者), 그 옛사람이(其古人之) 공손하고 검소하며(恭儉) 쓰임을 아끼고(節用), 낮추어(卑以) 자기를 수양하고(自牧), 예로(禮) 가르침의 근본을 삼고(爲敎本), 공경으로(敬者) 몸의 기초를 삼은 것을(身基) 보고(觀), 놀라고(瞿然) 자신을 잃어서(自失), 용모를 단속하고(斂容) 뜻을 억누르려고 해야 한다(欲抑志也).
* 自牧(자목): 스스로 수양(修養)하는 일.
[增註] 自牧, 自處也. 禮以律人, 敬以立己. 瞿然, 自失貌. 收斂其容, 抑下其志, 則不驕奢矣.
[增註] 자목은 자처하는 것이다(自牧, 自處也). 예로(禮以) 남을 바로잡고(律人), 공경으로(敬以) 자기를 세운다(立己). 구연은 자기를 잃은 모습이다(瞿然, 自失貌). 그 용모를 단정히 하고(收斂其容), 그 뜻을 억누르면(抑下其志, 則) 교만하고 사치하지 않는다(不驕奢矣).
素鄙悋者, 欲其觀古人之貴義輕財, 少私寡慾, 忌盈惡滿, 賙窮卹匱, 赧然悔恥, 積而能散也.
본래(素) 비루하고 인색한 사람은(鄙悋者), 옛사람이(其古人之) 의를 귀하게 여기고(貴義) 재물을 가벼이 여기고(輕財), 사사로움을 작게 여기고(少私) 욕심을 줄이고(寡慾), 가득 찬 것을 꺼리고(忌盈) 충만한 것을 싫어하며(惡滿), 곤궁함을 도와주고(賙窮) 없는 사람을 불쌍히 여긴 것을(卹匱) 보고(觀), 얼굴을 붉히며(赧然) 뉘우치고 부끄러워해서(悔恥), <재물을> 쌓았더라도(積而) 흩여주려고 해야 한다(欲能散也).
* 赧然(난연): 수줍어서 낯빛이 붉음.
[集說] 陳氏曰盈則溢. 故可忌, 滿則覆. 故可惡. 匱, 乏也. 赧然, 慚而面赤之貌. 積財而能散施, 則不鄙悋矣.
[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영은 넘침이고(盈則溢), 그러므로(故) 꺼리는 것이고(可忌). 가득 차면 뒤집어지고(滿則覆), 그러므로 싫어한다(故可惡). 궤는 모자람이다(匱, 乏也). 불그스레한 것은(赧然), 부끄러워서(慚而) 얼굴이 붉어진 모습이다(面赤之貌). 재물을 쌓아서(積財而) 흩어서 베풀 수 있으면(能散施, 則) 비루하고 인색하지 않은 것이다(不鄙悋矣).
素暴悍者, 欲其觀古人之小心黜己, 齒敝舌存, 含垢藏疾, 尊賢容衆, 苶然沮喪, 若不勝衣也.
본래(素) 사나운 사람은(暴悍者), 옛사람이(其古人之) 마음을 작게 하고(小心) 사욕을 줄이는 것과(黜己), 이가 없어도(齒敝) 혀가 남아 있고(舌存), 포용하고(含垢) <남의> 결점을 감춰주고(藏疾), 현인을 존중하고(尊賢) 대중을 용납하는 것을(容衆) 보고(觀), 기운 없이(苶然沮喪), 옷을 이기지 못하는 것처럼(若不勝衣) 하려고 해야 한다(欲也).
* 含垢(함구): 욕된 일을 참고 견딤. 욕되는 일에 견디어 포용(包容)하는 도량(度量)이 있음.
* 苶然(날연): 날연히. 피곤하여 기운(氣運)이 없음.
* 沮喪(저상): (의기(義氣)나 원기(元氣) 따위)기운(氣運)을 잃음. 죽음.
[集說] 陳氏曰暴, 猛暴也, 悍, 强悍也. 黜己, 自退抑也. 齒敝舌存, 喩强死而弱生也. 含垢, 謂包含人之垢穢, 藏疾, 謂藏隱人之過惡. 苶然, 沮喪貌, 謂自沮喪其暴悍之氣也.
[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폭은 사나운 것이고(暴, 猛暴也), 한은 강하고 사나운 것이다(悍, 强悍也). 출기는(黜己), 스스로 물러나고 억제하는 것이다(自退抑也). 치폐설존은(齒敝舌存), 강한 것은 죽고(强死而) 약한 것은 살아남음을(弱生) 비유한 것이다(喩也). 함구는(含垢), 남의 결점을 감싸는 것이고(謂包含人之垢穢), 장질은(藏疾), 남의 과실과 악을 숨겨주는 것을 말한다(謂藏隱人之過惡). 날연은(苶然), 기운이 없는 모습이니(沮喪貌), 스스로(謂自) 사납고 굳센 기운을(其暴悍之氣) 꺾는 것이다(沮喪也).
素怯懦者, 欲其觀古人之達生委命, 强毅正直, 立言必信, 求福不回, 勃然奮厲, 不可恐懼也.
본래(素) 겁이 많고 나약한 사람은(怯懦者), 그 예사람이(欲其古人之) 생을 통달하고(達生) 명에 맡기는 것과(委命), 강인하고 정직하며(强毅正直), 말을 세우면(立言) 반드시 성실하게 하고(必信), 복을 구하며(求福) 돌아보지 않는 것을(不回) 보고(觀), 힘차게 분발해서(勃然奮厲), 두려워하지 않으려고 해야 한다(不可恐懼也).
[集說] 陳氏曰怯, 畏怯也, 懦, 懦弱也. 達生委命, 謂通達生死之常理而付之於命也. 毅, 强忍也. 不回, 不爲回邪之行也. 勃然, 奮厲貌, 謂奮發振厲, 以去其怯懦也.
[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겁은 두려워하는 것이고(怯, 畏怯也), 유는 나약한 것이다(懦, 懦弱也). 달생위명은(達生委命), 생사의 떳떳한 이치에(生死之常理) 통달하고(通達而) 천명에 맡기는 것을(付之於命) 말한다(謂也). 예는 강인함이다(毅, 强忍也). 불회는(不回), 사악한 행실로 돌아가지 않음이다(不爲回邪之行也). 발연은(勃然), 떨쳐 힘쓰는 모습이고(奮厲貌), 분발하고 진작해서(奮發振厲, 以) 그 겁 많고 나약한 모습을 없애야 한다는(去其怯懦) 말이다(謂也).
歷玆以往, 百行皆然. 雖不能淳, 去泰去甚, 學之所知, 施無不達. 世人讀書, 但能言之, 不能行之. 武人俗吏, 所共嗤詆, 良由是耳.
지나온(歷) 이것 이외에(玆以往), 모든 행실이(百行) 모두 그렇다(皆然). 비록(雖) 순전히 그럴 수 없더라도(不能淳), 지나친 것을 없애고(去泰) 심한 것을 없애서(去甚), 배워서(學之) 아는 것을(所知), 시행함에(施) 통달하지 않는 것이 없어야 한다(無不達). 세상 사람들이(世人) 책을 읽지만(讀書), 단지(但) 그것을 말하기만 하고(能言之), 행하지 못한다(不能行之). 무인과 속된 관리가(武人俗吏), 함께 비웃음 받고 비방을 당하는 것은(所共嗤詆), 참으로(良) 이것 때문일 뿐이다(由是耳).
[增註] 玆, 指上文六者而言. 皆然, 謂皆如此取法古人也. 人能勇於力行, 雖或未至盡善, 而氣習偏駁泰甚者, 亦必克而去之, 學之所知者, 能力行之, 自無不達也. 達, 卽周子所謂行之利也.
[增註] 자는(玆), 윗글의(上文) 여섯 가지를(六者) 가리켜 말한 것이다(指而言). 개연은(皆然), 모두 이와 같이(皆如此) 고인을 취해서 본받는다는(取法古人) 말이다(謂也). 사람들이(人) 힘써 행하는 것에(於力行) 용감하면(能勇), 비록(雖或) 선을 다함에 이르지 못하더라도(未至盡善, 而) 기질과 습성의(氣習) 편벽됨과 잡됨이(偏駁) 지나치게 심한 것을(泰甚者), 또한(亦) 반드시(必) 극복하고 없애야 하니(克而去之), 배워서(學之) 아는 것을(所知者), 힘써 행하면(能力行之), 저절로(自) 통하지 않는 것이 없다(無不達也). 달이란(達), 곧(卽) 주자가(周子) 이른바(所謂) 행함의 이로움이다(行之利也).
又有讀數十卷書, 便自高大, 凌忽長者, 輕慢同列, 人疾之如讎敵, 惡之如鴟梟. 如此以學求益, 今反自損. 不如無學也.
또(又) 수십 권을 읽고서(讀數十卷書), 곧(便) 스스로 높이고(自高大), 연장자를 무시하고(凌忽長者), 동렬에 있는 사람을 가벼이 여기고(輕慢同列), 사람을 미워하는 것을(人疾之) 원수처럼 하고(如讎敵), 싫어하는 것을(惡之) 올빼미처럼 여기는 것이(如鴟梟) 있다(有). 이와 같다면(如此) 배움으로(以學) 이익을 구하는 것이(求益), 지금(今) 도리어(反) 자기에게 손해가 된다(自損). 배움이 없는 것만 못하다(不如無學也).
[集解] 熊氏曰此, 言借讀書爲名而矜己傲人者. 夫不能使人親愛而使人疾惡, 是, 學本求益, 今反自損也. 鴟梟, 惡鳥也.
'오서(五書) 읽기 > 소학집주(小學集註)'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경신(廣敬身) 5-82] 숙독완미(熟讀玩味) - 논어와 맹자 두 편은 숙독하고 완미해서 체득해야 한다 (0) | 2024.12.16 |
---|---|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경신(廣敬身) 5-81] 입덕지문(入德之門) - 대학은 덕에 들어가는 문이다 (0) | 2024.12.16 |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경신(廣敬身) 5-79] 왕이불반(往而不返) - 학문으로 벼슬을 구하는 마음 (0) | 2024.12.14 |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경신(廣敬身) 5-78] 말하지 말아야 하는 것 (0) | 2024.12.13 |
[소학집주(小學集註) 가언(嘉言) 광경신(廣敬身) 5-77] 담박방호(淡薄方好) - 대장부라고 부를만하다 (0) | 2024.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