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路見於孔子, 孔子曰: “智者若何? 仁者若何?” 子路對曰: “智者使人知己, 仁者使人愛己.” 子曰: “可謂士矣.” 子路出, 子貢入, 問亦如之. 子貢對曰: “智者知人, 仁者愛人.” 子曰: “可謂士矣.” 子貢出, 顔回入, 問亦如之. 對曰: “智者自知, 仁者自愛.” 子曰: “可謂士君子矣.”
자로가(子路) 공자를 뵈러 오자(見於孔子), 공자가 말하길(孔子曰): “지혜로운 사람은(智者) 어떠한가(若何)? 인한 사람은 어떠한가(仁者若何)?”라고 했다.
자로가 대답하길(子路對曰): “지자는(智者) 남으로 하여금(使人) 자기를 알게 만들고(知己), 인자는 남이 자기를 사랑하게 만듭니다(仁者使人愛己).”라고 했다.
공자가 말하길(子曰): “사라고 할만하다(可謂士矣).”라고 했다.
자로가 나가고(子路出), 자공이 들어오자(子貢入), 질문이(問) 또한 같았다(亦如之).
자공이 대답하길(子貢對曰): “지자는 남을 알고(智者知人), 인자는 남을 사랑합니다(仁者愛人).”라고 했다.
공자가 말하길(子曰): “사라고 할만하다(可謂士矣).”라고 했다.
자공이 나나고(子貢出), 안회가 들어오자(顔回入), 질문이 또한 같았다(問亦如之).
대답하길(對曰): “지자는 자기를 알고(智者自知), 인자는 자기를 사랑합니다(仁者自愛).”라고 했다.
공자가 말하길(子曰): “사군자라고 할만하다(可謂士君子矣).”라고 했다.
반응형
'공맹의 뒤안길 > 공자가어(孔子家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자가어(孔子家語) 삼서(三恕) 9-9] 남상(濫觴) - 말이 요령있고 행실이 진실하면 부족함이 없다 (0) | 2025.01.08 |
---|---|
[공자가어(孔子家語) 삼서(三恕) 9-8] 쟁신칠인(爭臣七人) - 간언하는 신하 일곱만 있더라도 (0) | 2025.01.08 |
[공자가어(孔子家語) 삼서(三恕) 9-6] 오유소치(吾有所齒) - 내가 부끄럽게 여기는 일 (0) | 2025.01.08 |
[공자가어(孔子家語) 삼서(三恕) 9-5] 자공관어노묘(子貢觀於魯廟) - 노나라 태묘의 지붕 (0) | 2025.01.08 |
[공자가어(孔子家語) 삼서(三恕) 9-4] 공자관어동류지수(孔子觀於東流之水) - 군자가 물을 만나면 반드시 구경한다 (0) | 2025.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