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맹의 뒤안길/공자가어(孔子家語)

[공자가어(孔子家語) 삼서(三恕) 9-9] 남상(濫觴) - 말이 요령있고 행실이 진실하면 부족함이 없다

by मोक्ष 2025. 1. 8.
반응형

子路盛服見於孔子. 子曰: “由是倨倨者何也? 夫江始出於岷山, 其源可以濫觴, 及其至于江津, 不舫舟, 不避風, 則不可以涉, 非唯下流水多耶? 今爾衣服旣盛, 顔色充盈, 天下且孰肯以非告汝乎?”

자로가(子路) 옷을 차려입고(盛服) 공자를 만났다(見於孔子).

공자가 말하길(子曰): “네가(由) 이렇게(是) 깨끗하게 입은 것은(倨倨者) 어째서인가(何也)? 무릇(夫) 강은(江) 처음에(始) 민산에서 나왔지만(出於岷山), 그 근원은(其源) 술잔에 넘칠 정도였는데(可以濫觴), 그 강진에 다다른 때에는(及其至于江津), 배를 타지 않거나(不舫舟), 바람을 피하지 않으면(不避風, 則) 건널 수 없으니(不可以涉), 오직 아래로 내려갈수록 물이 많아진 것이 아니겠는가(非唯下流水多耶)? 지금(今) 네가(爾) 의복을 차려입고(衣服旣盛), 얼굴빛이(顔色) <거만함으로> 가득하다면(充盈), 천하에서(天下) 또 누가(且孰) 기꺼이(肯) 잘못된 것을(以非) 너에게 일러주겠느냐(告汝乎)?”라고 했다.

 

* 盛服(성복): 잘 차려입은 옷.

* 倨倨(거거): 의복이 매우 깨끗함.

* 濫觴(남상): ‘양쯔강() 같은 큰 하천()의 근원()도 잔()을 띄울 만큼 가늘게 흐르는 시냇물’이라는 뜻으로, 사물()의 처음이나 기원()을 이르는 말.

 

子路趨而出, 改服而入, 蓋自若也. 子曰: “由志之, 吾告汝, 奮於言者華, 奮於行者伐, 夫色智而有能者, 小人也, 故君子知之曰智, 言之要也, 不能曰不能, 行之至也. 言要則智, 行至則仁, 旣仁且智, 惡不足哉!”

자로가 뛰어 나가서(子路趨而出), 옷을 갈아입고(改服而) 들어왔는데(入), 태체로 아무 일 없는 듯했다(蓋自若也).

공자가 말하길(子曰): “유야(由) 기억해라(志之), 내가(吾) 너에게 일러줄 것이니(告汝), 말하는 것에 힘쓰는 사람은(奮於言者) 화려하고(華), 행동에 힘쓰는 사람은(奮於行者) 자랑하고(伐), 무릇(夫) 지혜롭고 능력 있다고(智而有能) 꾸미는 사람은(者), 소인이다(小人也). 그러므로(故) 군자는(君子) 아는 것을(知之) 안다고 하는 것이(曰智), 말하는 요령이고(言之要也), 할 수 없는 것을(不能曰) 하지 않는 것이(不能), 행실의 진실함이다(行之至也). 말이 요령 있으면 지혜롭고(言要則智), 행실이 진실하면 인하고(行至則仁), 이미(旣) 어질고 지혜로운데(仁且智), 어찌 부족하겠는가(惡不足哉)!”라고 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