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맹의 뒤안길/공자가어(孔子家語)

[공자가어(孔子家語) 삼서(三恕) 9-8] 쟁신칠인(爭臣七人) - 간언하는 신하 일곱만 있더라도

by मोक्ष 2025. 1. 8.
반응형

子貢問於孔子曰: “子從父命孝, 臣從君命貞乎? 奚疑焉.” 孔子曰: “鄙哉賜, 汝不識也. 昔者明王萬乘之國, 有爭臣七人, 則主無過擧; 千乘之國, 有爭臣五人, 則社稷不危也; 百乘之家, 有爭臣三人, 則祿位不替; 父有爭子, 不陷無禮; 士有爭友, 不行不義, 故子從父命, 奚詎爲孝? 臣從君命, 奚詎爲貞? 夫能審其所從之謂孝之謂貞矣.”

자공이(子貢) 공자에게 묻기를(問於孔子曰): “자식이(子) 부모의 명을 따르는 것이(從父命) 효도이고(孝), 신하가(臣) 임금의 명을 따르는 것이(從君命) 정입니까(貞乎)? 어찌(奚) 의심할 수 있을까요(疑焉).”라고 했다.

공자가 말하길(孔子曰): “비루하구나 사야(鄙哉賜), 너는(汝) 알지 못하는구나(不識也). 옛날(昔者) 밝은 왕의 만승지국에(明王萬乘之國), 간쟁하는 신하가 일곱 있으면(有爭臣七人, 則) 임금에게(主) 잘못을 저지르는 일이 없고(無過擧); 천승지국에(千乘之國), 간쟁하는 신하가 다섯 있으면(有爭臣五人, 則) 사직이(社稷) 위태롭지 않고(不危也); 백승지가에(百乘之家), 간쟁하는 신하가 셋 있으면(有爭臣三人, 則) 녹봉과 지위가 바뀌지 않고(祿位不替); 아버지에게 간쟁하는 자식이 있으면(父有爭子), 무례에 빠지지 않고(不陷無禮); 사에게 간쟁하는 벗이 있으면(士有爭友), 불의한 일을 행하지 않고(不行不義), 그러므로(故) 자식이 아버지의 명을 따르는 것이(子從父命), 어찌(奚詎) 효가 되겠느냐(爲孝)? 신하가 임금의 명을 따르는 것이(臣從君命), 어찌 정이 되겠느냐(奚詎爲貞)? 무릇(夫) 그 따라야 할 것을(其所從) 살필 수 있는 것을(能審) 효라 하고(之謂孝) 정이라 한다(之謂貞矣).”라고 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