孔子謂子路曰: “君子而强氣, 而不得其死; 小人而强氣, 則刑戮荐蓁. 豳詩曰: ‘殆天之未陰雨, 徹彼桑土, 綢繆牖戶, 今汝下民, 或敢侮余.’” 孔子曰: “能治國家之如此, 雖欲侮之, 豈可得乎? 周自后稷積行累功, 以有爵土, 公劉重之以仁, 及至大王亶甫, 敦以德讓, 其樹根置本, 備豫遠矣初, 大王都豳, 翟人侵之, 事之以皮幣, 不得免焉, 事之以珠玉, 不得免焉, 於是屬耆老而告之, 所欲吾土地, ‘吾聞之君子不以所養而害人, 二三子何患乎無君?’ 遂獨與大姜去之, 踰梁山, 邑于岐山之下. 豳人曰: ‘仁人之君, 不可失也.’ 從之如歸市焉, 天之與周, 民之去殷, 久矣, 若此而不能天下, 未之有也, 武庚惡能侮? 鄁詩曰: ‘執轡如組, 兩驂如儛.’” 孔子曰: “爲此詩者, 其知政乎! 夫爲組者, 稯紕於此, 成文於彼, 言其動於近, 行於遠也. 執此法以御民, 豈不化乎! 竿旄之忠告至矣哉!”
공자가(孔子) 자로에게 말하길(謂子路曰): “군자가(君子而) 기운이 강하면(强氣, 而) 좋은 죽음을 얻지 못하고(不得其死); 소인이 기운이 강하면(小人而强氣, 則) 형륙이(刑戮) 몰려온다(荐蓁). 빈시에 이르길(豳詩曰): ‘하늘이(天之) 아직 비를 내리지 않을 때(殆未陰雨), 저 뽕나무 뿌리를(彼桑土) 걷어서(徹), 창과 문을(牖戶) 빈틈없이 막으면(綢繆), 지금(今) 네가(汝) 백성에게 명령하면(下民), 누가(或) 감히(敢) 너를 모욕하겠는가(侮余).’”라고 했다.
공자가 말하길(孔子曰): “국가를 다스리는 것이(能治國家之) 이와 같으니(如此), 비록(雖) 모욕하려고 해도(欲侮之), 어찌할 수 있겠는가(豈可得乎)? 주나라가(周) 후직으로부터(自后稷) 행실을 쌓고(積行) 공적을 쌓아서(累功), 작위와 봉토가 있었고(以有爵土), 공류는(公劉) 어진 것을 중요하게 여기고(重之以仁), 태왕 단보에 이르러(及至大王亶甫), 독실하게(敦以) 덕으로 양보하고(德讓), 그 뿌리를 심고(其樹根) 근본을 두어(置本), 먼 뒤를 대비했다(備豫遠矣).
처음에(初), 태왕이(大王) 빈에 도읍했는데(都豳), 작인이 침범하자(翟人侵之), 가죽 선물로(以皮幣) 섬겼는데(事之), 벗어날 수 없었고(不得免焉), 주옥으로 섬겼는데(事之以珠玉), 벗어날 수 없으니(不得免焉), 이에(於是) 기노에게 부탁해서(屬耆老而) 알리기를(告之), 바라는 것은(所欲) 우리 땅이다(吾土地)라고 했다.
<태왕이 말하길> ‘내가 듣기로(吾聞之) 군자는(君子) 그 기르는 것으로(以所養而) 남을 해치지 않으니(不害人), 그대들이(二三子) 어찌(何) 임금 없는 것을 걱정하겠는가(患乎無君)?’라고 하고, 마침내(遂) 홀로(獨) 태강과 더불어(與大姜) 떠나서(去之), 양산을 넘어(踰梁山), 기산 아래에 읍을 세웠다(邑于岐山之下).
빈 사람들이 말하길(豳人曰): ‘인한 임금이니(仁人之君), 잃을 수 없다(不可失也).’라고 했다. 그를 따라(從之) 시장에 사람이 모여드는 것처럼 하니(如歸市焉), 하늘이(天之) 주나라와 함께 하고(與周), 백성이(民之) 은나라를 버린 것이(去殷), 오래되었다(久矣). 이와 같으면서(若此而) 천하를 다스리지 못한 사람은(不能天下), 있지 않았으니(未之有也), 무경이(武庚) 어찌(惡) 업신여길 수 있겠는가(能侮)? 패시에 이르길(鄁詩曰): ‘고삐를 잡은 것이(執轡) 비단줄 잡은 것 같고(如組), 두 필 말이(兩驂) 춤추는 것 같았다(如儛).’”라고 했다.
공자가 말하길(孔子曰): “이 시를 지은 사람은(爲此詩者), 아마 정치를 알았던 것인가(其知政乎)! 무릇(夫) 베를 짜는 것은(爲組者), 여기에서 모아 쥐고(稯紕於此), 저기에서 무늬가 이루어지니(成文於彼), 그것이 가까운 데서(其於近) 움직여서(動), 먼 데서 행해진다는(行於遠) 말이다(言也). 이런 법을 가지고(執此法以) 백성을 다시르면(御民), 어찌(豈) 교화되지 않겠는가(不化乎)! 간모의(竿旄之) 충고가(忠告) 지극하구나(至矣哉)!”라고 했다.
* 陰雨(음우): 몹시 음산(陰散)하게 오는 비, 오래 내리는 궂은비.
* 綢繆(주무): 미리미리 빈틈없이 자세(仔細)하게 준비(準備)함.
* 未雨綢繆(미우주무) : '비가 오기 전(前)에 올빼미가 둥지의 문을 닫아 얽어맨다.'는 뜻으로, 화가 싹트기 전(前)에 미리 방지(防止)함을 이르는 말.
* 桑土綢繆(상토주무) ‘새는 폭풍우(暴風雨)가 닥치기 전(前)에 뽕나무 뿌리를 물어다가 둥지의 구멍을 막는다.’는 뜻으로, 미리 준비(準備)하여 닥쳐올 재앙(災殃)을 막음을 이르는 말.
'공맹의 뒤안길 > 공자가어(孔子家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자가어(孔子家語) 관주(觀周) 11-2] 공자관명당(孔子觀明堂) - 공자가 명당을 보다 (0) | 2025.01.15 |
---|---|
[공자가어(孔子家語) 관주(觀周) 11-1] 오문노담박고지금(吾聞老聃博古知今) - 공자가 주나라에 가서 노담을 만나다 (0) | 2025.01.13 |
[공자가어(孔子家語) 호생(好生) 10-16] 소변해의(小辯害義) - 하찮은 말재주로 의를 해치다 (0) | 2025.01.12 |
[공자가어(孔子家語) 호생(好生) 10-15] 남녀는 60살이 되지 않으면 같이 머물지 않는다 (0) | 2025.01.12 |
[공자가어(孔子家語) 호생(好生) 10-14] 군자삼환(君子三患) - 군자에게 세 가지 걱정이 있으니 (0) | 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