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孔子曰: “小辯害義, 小言破道, 關睢興于鳥而君子美之, 取其雄雌之有別; 鹿鳴興於獸, 而君子大之, 取其得食而相呼, 若以鳥獸之名嫌之, 固不可行也.”
공자가 말하길(孔子曰): “하찮은 말재주가(小辯) 의를 해치고(害義), 소인의 말이(小言) 도를 깨뜨리니(破道), 관저가(關睢) 새에서 흥을 취하고(興于鳥而) 군자를 아름답게 여긴 것은(君子美之), 그 암수의 분별이 있음을 취한 것이고(取其雄雌之有別); 녹명은(鹿鳴) 짐승에서 흥했는데(興於獸, 而) 군자를 훌륭하게 여긴 것은(君子大之), 그 먹을 것을 얻어서(其得食而) 서로 부르는 것을(相呼) 취했으니(取), 만약(若) 새와 짐승이라는 이름 때문에(以鳥獸之名) 그것을 꺼린다면(嫌之), 진실로(固) 실천할 수 없다(시를 취할 수 없다)(不可行也).”라고 했다.
반응형
'공맹의 뒤안길 > 공자가어(孔子家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자가어(孔子家語) 관주(觀周) 11-1] 오문노담박고지금(吾聞老聃博古知今) - 공자가 주나라에 가서 노담을 만나다 (0) | 2025.01.13 |
---|---|
[공자가어(孔子家語) 호생(好生) 10-17] 미우주무(未雨綢繆) - 미리 준비하면 누가 모욕할 수 있겠는가 (0) | 2025.01.13 |
[공자가어(孔子家語) 호생(好生) 10-15] 남녀는 60살이 되지 않으면 같이 머물지 않는다 (0) | 2025.01.12 |
[공자가어(孔子家語) 호생(好生) 10-14] 군자삼환(君子三患) - 군자에게 세 가지 걱정이 있으니 (0) | 2025.01.12 |
[공자가어(孔子家語) 호생(好生) 10-13] 자위자로왈(子謂子路曰) - 공자가 자로를 가르치기를 (0) | 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