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孔子讀詩于正月六章, 惕焉如懼, 曰: “彼不達之君子, 豈不殆哉? 從上依世則道廢, 違上離俗則身危, 時不興善, 己獨由之, 則曰非妖卽妄也, 故賢也旣不遇天, 恐不終其命焉, 桀殺龍逢, 紂殺比干, 皆類是也. 詩曰: ‘謂天蓋高, 不敢不局, 謂地蓋厚, 不敢不蹐.’ 此言上下畏罪, 無所自容也”
공자가(孔子) 시를 읽다가(讀詩) 정월 6장에 이르러(于正月六章), 근심하고(惕焉) 두려워하며 말하길(如懼, 曰): “저(彼) 통달하지 못한(不達之) 군자가(君子), 어찌(豈) 위태롭지 않겠는가(不殆哉)? 윗사람을 따라(從上) 세상에 의지하면(依世則) 도가 없어지고(道廢), 윗사람을 어겨(違上) 세속에서 멀어지면(離俗則) 몸이 위태로우니(身危), 대에 맞게(時) 선을 일으키지 않고(不興善), 자기가(己) 홀로(獨) 따른다면(由之, 則) 요사스럽고 망령되다고 비난할 것이고(曰非妖卽妄也), 그러므로(故) 어진 사람이(賢也) 이미 하늘을 만나지 못했다면(旣不遇天), 그 명을 제대로 마치지 못할까 걱정하니(恐不終其命焉), 걸왕이(桀) 용봉을 죽이고(殺龍逢), 주왕이(紂) 비간을 죽인 것이(殺比干), 모두(皆) 이런 예다(類是也).
시에 이르길(詩曰): ‘하늘이 대체로 높지만(天蓋高), 감히 굽히지 않을 수 없다고(不敢不局) 말하고(謂), 땅이 대체로 두텁지만(謂地蓋厚), 살금살금 걷지 않을 수 없다(不敢不蹐).’라고 했으니, 이것은(此) 위아래로(上下) 죄를 지으면(畏罪), 자신을 받아줄 곳이 없다는 것을(無所自容) 말한다(言也).”라고 했다.
반응형
'공맹의 뒤안길 > 공자가어(孔子家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자가어(孔子家語) 현군(賢君) 13-7] 유도하인(有道下人) - 도가 있으면서도 자신을 낮춘다 (0) | 2025.01.20 |
---|---|
[공자가어(孔子家語) 현군(賢君) 13-6] 존현이천불초(尊賢而賤不肖) - 나라를 다스릴 때 인재를 등용해라 (0) | 2025.01.20 |
[공자가어(孔子家語) 현군(賢君) 13-4] 공경충신(恭敬忠信) - 이 네 가지를 꼭 지켜라 (0) | 2025.01.20 |
[공자가어(孔子家語) 현군(賢君) 13-3] 하나라 걸왕은 아내를 잊은 사람보다 심하다 (0) | 2025.01.19 |
[공자가어(孔子家語) 현군(賢君) 13-2] 금지인신숙위현(今之人臣 孰爲賢) - 신하 가운데 누가 가장 어진가요? (0) | 202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