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貢問曰: "賜也何如?" 子曰: "女, 器也." [孔曰: "言女器用之人."] 曰: "何器也?" 曰: "瑚璉也." [包曰: "瑚璉, 黍稷之器. 夏曰瑚, 殷曰璉, 周曰簠簋, 宗廟之器貴者."]
자공이 묻기를(子貢問曰): "사(저)는(賜也) 어떻습니까(何如)?"라고 했다.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너는 그릇이다(女, 器也)."라고 했다. [孔曰: "너는(女) 그릇으로 쓸만한(器用之) 사람이라는(人) 말이다(言)."]
말하길(曰): "어떤 그릇입니까(何器也)?"라고 했다.
말하길(曰): "호련이다(瑚璉也)."라고 했다. [包曰: "호련은(瑚璉), 찰기장과 메기장을 담는 그릇이다(黍稷之器). 하날에서는(夏) 호라고 했고(曰瑚), 은나라에서는(殷) 련이라고 했고(曰璉), 주나라에서는(周) 보궤라고 했으니(曰簠簋), 종묘의 그릇 가운데(宗廟之器) 귀한 것이다(貴者)."]
* 黍稷(서직): 찰기장과 메기장. 옛날 나라 제사(祭祀)에 날것으로 썼음.
【疏】'子貢'至'瑚璉也'. ○正義曰: 此章明弟子子貢之德也.
【疏】자공부터 호련까지('子貢'至'瑚璉也').
○正義曰: 이 장은(此章) 제자 자고의 덕을(弟子子貢之德) 밝혔다(明也).
'子貢曰: 賜也何如'者, 子貢見夫子歷說諸弟子, 不及於己, 故問之曰: "賜也, 已自不知其行何如也."
자공왈 사야하여란('子貢曰: 賜也何如'者), 자공이(子貢) 부자가(夫子) 여러 제자를(諸弟子) 차례로 말하면서(歷說), 자기에게 이르지 않은 것을(不及於己) 보았고(見), 그러므로(故) 묻기를(問之曰): "저는(賜也), 자기 스스로(已自) 그 행실이 어떤지(其行何如) 알지 못한다고 한 것이다(不知也)."
'子曰: 女器也', 夫子答之, 言女器用之人也.
자왈 여기야는('子曰: 女器也'), 부자가 답한 것이고(夫子答之), 너는(女) 그릇으로 쓰일만한(器用之) 사람이라고(人) 말한 것이다(言也).
'曰: 何器也'者, 子貢雖得夫子言己為器用之人, 但器有善惡, 猶未知己器云何, 故復問之也."
왈하기야란('曰: 何器也'者), 자공이(子貢) 비록(雖) 부자가(夫子) 자기는(己) 그릇으로 쓰일만한 사람이라고(為器用之人) 말한 것을 들었지만(得言), 다만(但) 그릇에는(器) 좋은 것과 나쁜 것이 있고(有善惡), 오히려(猶) 아직 자기 그릇이 어떻다고 말한 것을 알지 못했고(未知己器云何), 그러므로(故) 다시 물은 것이다(復問之也)."
'曰: 瑚璉也'者, 此夫子又為指其定分. 瑚璉, 黍稷之器, 宗廟之器貴者也. 言女是貴器也.
왈호련야란 것은('曰: 瑚璉也'者), 이것은(此) 부자가(夫子) 또(又) 그 정해진 분량을 가리켜서 말한 것이다(為指其定分). 호련은(瑚璉), 찰기장과 메기장의 그릇이니(黍稷之器), 종묘의(宗廟之) 귀중한 그릇이다(器貴者也). 너는 바로 귀한 그릇이라는 말이다(言女是貴器也).
○注'包曰'至'貴者'. ○正義曰: 云'瑚璉, 黍稷之器. 夏曰瑚, 殷曰璉, 周曰簠簋'者, 案《明堂位》說四代之器云: "有虞氏之兩敦, 夏后氏之四璉, 殷之六瑚, 周之八簋." 注云: "皆黍稷器. 制之異同未聞." 鄭注《周禮舍人》云: "方曰簠, 圓曰簋." 如《記》文, 則夏器名璉, 殷器名瑚. 而包咸、鄭玄等注此《論語》, 賈、服、杜等注《左傳》, 皆云夏曰瑚. 或引有所據, 或相從而誤也.
○주 포왈부터 귀자까지(注'包曰'至'貴者').
○正義曰: 호련 서직지기 하왈호은왈련주왈보궤라고 말한 것은(云'瑚璉, 黍稷之器. 夏曰瑚, 殷曰璉, 周曰簠簋'者), 명당위에서(《明堂位》) 4대의 그릇을 말한 것을 살펴보면(案說四代之器云): "유우씨는(有虞氏之) 양돈이고(兩敦), 하후씨는 사련이고(夏后氏之四璉), 은나라는 육호이고(殷之六瑚), 주나라는 8궤이다(周之八簋)."라고 했는데,
주에 이르길注云: "모두(皆) 서직을 담는 그릇이다(黍稷器). 만들어진 것이(制之) 다르고 같은 것은(異同) 듣지 못했다(未聞)."라고 했다.
정주 주례사인에서 말하길(鄭注《周禮舍人》云): "네모난 것을 보라하고(方曰簠), 둥근 것을 궤라한다(圓曰簋)."라고 했고,
기문에서라면(如《記》文, 則) 하나라 그릇은(夏器) 이름이 련이고(名璉), 은나라 그릇은 이름이 호인데(殷器名瑚, 而) 포함과 정현 등이(包咸、鄭玄等) 이 논어를 주석했고(注此《論語》), 가공언과 복건, 두예 등이(賈、服、杜等) 좌전을 주했다(注《左傳》), 모두 말하길(皆云) 하나라는 호라고 했다(夏曰瑚)라고 했다. 혹은(或) 인용한 것에(引) 근거되는 것이 있거나(有所據), 혹(或) 서로 따라서(相從而) 잘못했을 것이다(誤也).
'오서(五書) 읽기 > 논어주소(論語注疏)'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주소(論語注疏) 공야장(公冶長) 5-6] 미능신(未能信): 제가 아직 능력이 되지 않습니다 (0) | 2025.02.23 |
---|---|
[논어주소(論語注疏) 공야장(公冶長) 5-5] 언용녕(焉用佞): 말재주를 어디에 쓰겠는가? (0) | 2025.02.23 |
[논어주소(論語注疏) 공야장(公冶長) 5-3] 군자재약인(君子哉若人): 자천의 군자다움을 누구에게 배웠겠는가 (0) | 2025.02.21 |
[논어주소(論語注疏) 공야장(公冶長) 5-2] 방유도불폐(邦有道不廢): 남용은 현명했다 (0) | 2025.02.21 |
[논어주소(論語注疏) 공야장(公冶長) 5-1] 누설지중(縲絏之中): 그 사람의 죄가 아니다 (0) |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