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君子無所爭, 必也射乎!(군자무소쟁 필야사호) 揖讓而升,(읍양이승)
子曰: “군자에게는(君子) 다툴 것이 없고(無所爭), 반드시 그래야 한다면(必也) 활쏘기일 것이다(射乎)! 읍하고 사양하고(揖讓而) 올라가고(升),
揖讓而升者, 大射之禮, 耦進三揖而後升堂也.
읍양이승이란(揖讓而升者), 대사의 예이고(大射之禮), 짝지어 나아가(耦進) 세 번 절하고 나서(三揖而後) 당에 오른다(升堂也).
下而飮,(하이음)
내려와서 마시게 하니(下而飮),
○ 下而飮, 謂射畢揖降, 以俟衆耦皆降, 勝者乃揖不勝者升, 取觶立飮也.
○ 하이음은(下而飮), 활쏘기가 끝나고(射畢) 읍하고 내려와서(揖降, 以) 여러 짝이 모두 내려오기를 기다려(俟衆耦皆降), 이긴 사람이(勝者) 곧(乃) 이기지 못한 사람에게 읍하고(揖不勝者升), 잔을 들고(取觶) 서서 마시도록 하는 것을(立飮) 말한다(謂也).
其爭也君子.”(기쟁야군자)
그 다툼이(其爭也) 군자답다(君子).”
言君子恭遜不與人爭, 惟於射而後有爭. 然其爭也, 雍容揖遜乃如此, 則其爭也君子, 而非若小人之爭矣.
군자는 공손해서(君子恭遜) 남과 다투지 않지만(不與人爭), 오직(惟) 활쏘기를 하고 나서(於射而後) 다툼이 있다(有爭). 그러나(然) 그 다툼이(其爭也), 화락하고(雍容) 겸손하기가(揖遜) 곧(乃) 이와 같다면(如此, 則) 그 다툼은(其爭也) 군자다운 것이니(君子, 而) 소인의 다툼과 같지 않다(非若小人之爭)는 말이다(言矣).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팔일(八佾) 3-9] 문헌이 있다면 내가 증명할 수 있다 / 문헌부족고(文獻不足故) (0) | 2024.04.09 |
---|---|
[논어집주(論語集注) 팔일(八佾) 3-8] 이제 너와 시를 이야기 할만 하구나 / 회사후소(繪事後素) (0) | 2024.04.08 |
[논어집주(論語集注) 팔일(八佾) 3-6] 분수에 넘치는 제사를 지낸 계씨 / 불여임방(不如林放) (0) | 2024.04.06 |
[논어집주(論語集注) 팔일(八佾) 3-5] 오랑캐 나라와 중국의 차이 / 이적지유군(夷狄之有君) (0) | 2024.04.03 |
[논어집주(論語集注) 팔일(八佾) 3-4] 예의 본질은 무엇인가 / 여기치야 영검(與其奢也寧儉) (0) | 2024.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