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집주(論語集注)

[논어집주(論語集注) 팔일(八佾) 3-15] 이렇게 하는 것이 예다 / 입태묘 매사문(入大廟 每事問)

by मोक्ष 2024. 4. 14.
반응형

子入大廟, 每事問.(자입태묘 매사문)

선생님이(子) 태묘에 들어갈 때마다(入大廟), 모든 일을 물었다(每事問).


○ 大廟, 魯周公廟. 此蓋孔子始仕之時, 入而助祭也.

○ 태묘는(大廟), 노나라(魯) 주공의 묘다(周公廟). 이것은(此) 대체로(蓋) 공자가(孔子) 처음(始) 벼슬하던 때로(仕之時), 들어가서(入而) 제사를 도왔다(助祭也).

或曰: “孰謂鄹人之子知禮乎? 入大廟, 每事問.”(숙위추인지자지례호 입태묘 매사문)

或曰: “누가(孰) 추인의 자식이(鄹人之子) 예를 안다고(知禮) 말했는가(乎)? 태묘에 들어가서(入大廟), 모든 일을 물었다(每事問).”


○ 鄹, 魯邑名. 孔子父叔梁紇, 嘗爲其邑大夫. 孔子自少以知禮聞, 故或人因此而譏之.

○ 추는(鄹), 노나라 읍의 이름이다(魯邑名). 공자의 아버지(孔子父) 숙량흘은(叔梁紇), 일찍이(嘗) 그 읍의 대부였다(爲其邑大夫). 공자가(孔子) 어려부터(自少) 예를 안다고(以知禮) 소문이 있었고(聞), 그러므로(故) 누군가(或人) 이것으로(因此而) 비난했다(譏之).

子聞之曰: “是禮也.”(자문지왈 시례야)

선생님이 그것을 듣고 말하길(子聞之曰): “이것이 예다(是禮也).”라고 했다.


孔子言是禮者, 敬謹之至, 乃所以爲禮也.

공자가(孔子) 이것이 예라고 말한 것은(言是禮者), 공경과 삼감이 지극한 것이(敬謹之至), 곧(乃) 예를 실천하는 것이다(所以爲禮也).


○ 尹氏曰: “禮者, 敬而已矣. 雖知亦問, 謹之至也, 其爲敬莫大於此. 謂之不知禮者, 豈足以知孔子哉?”

○ 尹氏曰: “예란(禮者), 공경함일 뿐이다(敬而已矣). 비록(雖) 알지만 또 묻는 것이(知亦問), 삼감이 지극한 것이고(謹之至也), 그 공경함이(其爲敬) 이것보다 더한 것이 없다(莫大於此). 예를 알지 못하는 사람이(之不知禮者), 어찌(豈) 공자를 알 수 있겠는가(足以知孔子哉) 하는 말이다(謂)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