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唯仁者能好人, 能惡人.”(유인자능호인 능오인)
子曰: “오직(唯) 인자만이(仁者) 남을 좋아할 수 있고(能好人), 남을 미워할 수 있다(能惡人).”
○ 唯之爲言獨也. 蓋無私心, 然後好惡當於理,
○ 유라는 말은(唯之爲言) 홀로다(獨也). 대체로(蓋) 사심이 없고 나서야(無私心, 然後)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이(好惡) 이치에 맞는다(當於理),
程子所謂: “得其公正” 是也.
정자가 이른바(程子所謂): “그 공정함을 얻었다(得其公正)”라는 것이 이것이다(是也).
○ 游氏曰: “好善而惡惡, 天下之同情, 然人每失其正者, 心有所繫而不能自克也. 惟仁者無私心, 所以能好惡也.”
○ 游氏曰: “선을 좋아하고(好善而) 악을 미워하는 것이(惡惡), 천하의 같은 정이지만(天下之同情), 그러나(然) 사람은(人) 늘(每) 그 올바름을 잃는 것은(失其正者), 마음에(心) 매인 것이 있어서(有所繫而) 자신을 극복할 수 없다(不能自克也). 오직(惟) 인한 사람에게(仁者) 사심이 없어서(無私心), 좋아하고 싫어할 수 있다(所以能好惡也).”라고 했다.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4] 인에 뜻을 두면 나쁜 짓을 하지 않는다 (0) | 2024.04.24 |
---|---|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5] 불이기도득지(不以其道得之) 조차전패(造次顚沛) / 부귀와 빈천을 대하는 올바른 자세 (0) | 2024.04.23 |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2] 인자안인 지자이인(仁者安仁 知者利仁) 인을 편안하게 여기는 사람과 이롭게 여기는 사람 (0) | 2024.04.23 |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1] 이인위미(里仁爲美) / 인한 마을에 살아야 한다 (0) | 2024.04.22 |
[논어집주(論語集注) 팔일(八佾) 3-26] 거상불관(居上不寬) / 사람 됨됨이를 보는 요체 (0) | 2024.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