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富與貴是人之所欲也, 不以其道得之, 不處也;(부여귀시인지소욕야 불이기도득지 불처야) 貧與賤是人之所惡也, 不以其道得之, 不去也.(부여천시인지소오야 불이기도득지 불거야)
子曰: “부유함과 귀함(富與貴) 이것은(是) 사람들이(人之) 바라는 것이고(所欲也), 바른 도로 얻은 것이 아니라면(不以其道得之), 처하지 않고(不處也); 가난과 천함(貧與賤) 이것은(是)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지만(人之所惡也), 바른 도로 얻은 것이 아니라도(不以其道得之), 떠나지 않는다(不去也).
○ 不以其道得之, 謂不當得而得之. 然於富貴則不處, 於貧賤則不去, 君子之審富貴而安貧賤也如此.
○ 불이기도득지는(不以其道得之), 마땅히 얻을 것이 아닌데도(不當得而) 얻은 것을(得之) 말한다(謂). 그러나(然) 부유함과 귀함에 처하지 않고(於富貴則不處), 빈천에서 떠나지 않으니(於貧賤則不去), 군자가(君子之) 부귀를 살피고(審富貴而) 빈천을 편안히 여기는 것이(安貧賤也) 이와 같다(如此).
君子去仁, 惡乎成名?(군자거인 오호성명)
군자가 인을 떠나면(君子去仁), 어디에서(惡乎) 명성을 이루겠는가(成名)?
○ 言君子所以爲君子, 以其仁也. 若貪富貴而厭貧賤, 則是自離其仁, 而無君子之實矣, 何所成其名乎?
○ 군자가(言君子) 군자인 까닭은(所以爲君子), 그 인 때문이다(以其仁也). 만약(若) 부귀를 탐하고(貪富貴而) 빈천을 싫어한다면(厭貧賤, 則) 이것은(是) 스스로(自) 그 인에서 떠나서(離其仁, 而) 군자의 실질이 없는 것이니(無君子之實矣), 어디에서(何所) 그 명성을 이루겠는가(成其名乎)?
君子無終食之間違仁, 造次必於是, 顚沛必於是.”(군자무종식지간위인 조차필어시 전패필어시)
군자는(君子) 밥 먹는 사이에도(終食之間) 인을 어기는 것이 없고(無違仁), 짧은 시간에도(造次) 반드시 여기에 있고(必於是), 넘어지고 엎어지는 급박한 때에도(顚沛) 반드시 여기에 있는다(必於是).”
* 造次(조차): 얼마 아닌 짧은 시간(時間).
* 顚沛(전패): 엎어지고 자빠지는 것.
○ 終食者, 一飯之頃. 造次, 急遽苟且之時. 顚沛, 傾覆流離之際. 蓋君子之不去乎仁如此, 不但富貴ㆍ貧賤ㆍ取舍之間而已也.
○ 종식이란(終食者), 한 끼 먹는 시간이다(一飯之頃). 조차는(造次), 급박하고 구차한 때이다(急遽苟且之時). 전패는(顚沛), 엎어지고 흩어지는 즈음이다(傾覆流離之際). 대체로(蓋) 군자가(君子之) 인에서 떠나지 않는 것이(不去乎仁) 이와 같아서(如此), 단지 부귀, 빈천을 취사하는 사이일 뿐이 아니다(不但富貴ㆍ貧賤ㆍ取舍之間而已也).
○ 言君子爲仁, 自富貴, 貧賤, 取舍之間, 以至於終食, 造次, 顚沛之頃, 無時無處而不用其力也. 然取舍之分明, 然後存養之功密; 存養之功密, 則其取舍之分益明矣.
○ 군자가 인을 행하는 것은(君子爲仁), 부귀와 빈천을 취사하는 사이로부터(自富貴, 貧賤, 取舍之間), 종식, 조차, 전패에 이르기까지以至於終食, 造次, 顚沛之頃), 어느 때 어느 곳에서나(無時無處而) 힘을 쓰지 않음이 없다는(不用其力) 말이다(言也). 그러나(然) 취사가 분명하고 나서야(取舍之分明, 然後) 존양의 공부가 정밀하고(存養之功密); 종양의 공부가 정밀해지면(存養之功密, 則) 그 취사의 분멸이(其取舍之分) 더욱 밝아진다(益明矣).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6] 역부족자 중도이폐(力不足者 中道而廢) / 힘이 부족해서 인을 못하는 것이 아니다 (0) | 2024.04.24 |
---|---|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4] 인에 뜻을 두면 나쁜 짓을 하지 않는다 (0) | 2024.04.24 |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3] 인자호인 인자오인(仁者好人 仁者惡人) / 인자만이 남을 미워하고 좋아할 수 있다 (0) | 2024.04.23 |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2] 인자안인 지자이인(仁者安仁 知者利仁) 인을 편안하게 여기는 사람과 이롭게 여기는 사람 (0) | 2024.04.23 |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1] 이인위미(里仁爲美) / 인한 마을에 살아야 한다 (0) | 2024.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