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以約失之者鮮矣.”(이약실지자선의)
子曰: “단속을 잘해서(以約) 잘못되는 사람은(失之者) 드물다(鮮矣).”
○ 謝氏曰: “不侈然以自放之謂約.”
○ 謝氏曰: “사치스러워서(侈然以) 자기를 방만하게 하지 않는 것을(不自放之) 약이라 한다(謂約).”
尹氏曰: “凡事約則鮮失, 非止謂儉約也.”
尹氏曰: “모든 일이(凡事) 단속되면(約則) 잘못이 적고(鮮失), 검약을 말하는 것에(謂儉約) 그치지 않는다(非止也).”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25] 덕필유린(德必有隣) / 덕이 있으면 반드시 따르는 사람이 있다 (0) | 2024.05.06 |
---|---|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24] 눌언민행(訥言敏行) / 말은 어눌하게 행동은 민첩하게 (0) | 2024.05.06 |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22] 언지불출 치궁불체(言之不出 恥躬不逮) / 부끄러운 처지가 되지 않도록 말을 조심해야 한다 (0) | 2024.05.06 |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21] 희구지정(喜懼之情) / 애일지성(愛日之誠) / 날을 아끼는 정성을 그만둘 수 없다 (0) | 2024.05.06 |
[논어집주(論語集注) 이인(里仁) 4-20] 삼년무개(三年無改) / 3년은 부모의 뜻을 따른다 (0) | 2024.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