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以四敎: 文ㆍ行ㆍ忠ㆍ信.(자이사교 문행충신)
선생님은(子) 네 가지로(以四) 가르치셨는데(敎): 문, 행, 충, 신이다(文ㆍ行ㆍ忠ㆍ信).
○ 程子曰: “敎人以學文脩行而存忠信也. 忠信, 本也.”
○ 程子曰: “사람을 가르치는 것은(敎人) 글을 배우고, 행실을 닦고(以學文脩行而) 충신을 보존하는 것으로 했다(存忠信也). 충신이(忠信), 근본이다(本也).”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26] 종이불망 익불사숙(釣而不網 弋不射宿) / 정도를 지키는 삶의 자세 (0) | 2024.07.20 |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25] 득견유항자 사가의(得見君子者 斯可矣) / 항심을 가진 사람이라도 만날 수 있었으면... (0) | 2024.07.19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23] 오무은호이(吾無隱乎爾) / 나는 숨기는 것이 없다 (0) | 2024.07.19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22] 천생덕어여(天生德於予) / 하늘이 나에게 덕을 주었다 (0) | 2024.07.19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21] 삼인행필유아사(三人行必有我師) / 누구든 나의 스승이 될 수 있다 (0) | 2024.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