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釣而不綱, 弋不射宿.(자조이불강 익불사숙)
선생님은(子) 낚시질을 했지만(釣而) 그물질은 하지 않았고(不綱), 주살질 했지만(弋) 잠자는 새를 쏘지 않았다(不射宿).
○ 綱, 以大繩屬網, 絶流而漁者也. 弋, 以生絲繫矢而射也. 宿, 宿鳥.
○ 강은(綱), 큰 밧줄로(以大繩) 그물을 이어서(屬網), 흐름을 막고(絶流而) 고기 잡는 것이다(漁者也). 익은(弋), 생사를(以生絲) 화살에 매고(繫矢而) 쏘는 것이다(射也). 숙은(宿), 잠자는 새다(宿鳥).
○ 洪氏曰: “孔子少貧賤, 爲養與祭, 或不得已而釣弋, 如獵較是也. 然盡物取之, 出其不意, 亦不爲也. 此可見仁人之本心矣. 待物如此, 待人可知; 小者如此, 大者可知.”
○ 洪氏曰: “공자가(孔子) 어려서(少) 가난하고 천했기 때문에(貧賤), 봉양과 제사를 위해(爲養與祭), 혹(或) 어쩔 수 없이(不得已而) 낚시질과 주살질을 했으니(釣弋), 엽각이 이것이다(如獵較是也). 그러나(然) 물(고기)을 모조리 취하는 것과(盡物取之), 그 뜻하지 않은 때 주살질 하는 것은(出其不意), 또한(亦) 하지 않았다(不爲也). 이것에서(此) 인한 사람의 마음을(仁人之本心) 볼 수 있다(可見矣). 사물을 대하는 것이(待物) 이와 같았으니(如此), 사람 대한 것을(待人) 알 수 있고(可知); 작은 일에 대해(小者) 이와 같았으니(如此), 큰 일 대하는 것을(大者) 알 수 있다(可知).”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28] 불보기왕(不保其往) / 지난날의 악행을 마음에 담아 두지 않는다 (0) | 2024.07.21 |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27] 다문택선(多聞擇善) / 많은 듣고 좋은 것을 가려서 택하라 (0) | 2024.07.20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25] 득견유항자 사가의(得見君子者 斯可矣) / 항심을 가진 사람이라도 만날 수 있었으면... (0) | 2024.07.19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24] 문행충신(文行忠信) / 공자의 네 가지 가르침 (0) | 2024.07.19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23] 오무은호이(吾無隱乎爾) / 나는 숨기는 것이 없다 (0) | 2024.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