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仁遠乎哉? 我欲仁, 斯仁至矣.”(인원호재 아욕인 사인지의)
子曰: “인이(仁) 멀리 있는 것인가(遠乎哉)? 내가(我) 인을 행하려고 하면(欲仁, 斯) 인이 이를 것이다(仁至矣).”
仁者, 心之德, 非在外也.放而不求, 故有以爲遠者; 反而求之, 則卽此而在矣, 夫豈遠哉?
인이란(仁者), 마음의 덕이고(心之德), 바깥에 있는 것이 아니다(非在外也). 놓아버리고(放而) 찾지 않고(不求), 그러므로(故) 멀리 있다고 여기는 사람이(以爲遠者) 있고(有); 돌이켜(反而) 찾으면(求之, 則) 여기에 즉해서(卽此而) 있으니(在矣), 어찌(夫豈) 멀리 있겠는가(遠哉)?
○ 程子曰: “爲仁由己, 欲之則至, 何遠之有?”
○ 程子曰: “인을 행하는 것은(爲仁) 자기를 따라 나오니(由己), 하려고 하면(欲之則) 이를 것이니(至), 어찌(何) 멀리 있겠는가(遠之有)?”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32] 궁행군자(躬行君子) / 군자의 도를 몸소 실천하다 (0) | 2024.08.01 |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30] 군자부당(君子不黨) / 공자가 잘못을 인정하다 (0) | 2024.07.21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28] 불보기왕(不保其往) / 지난날의 악행을 마음에 담아 두지 않는다 (0) | 2024.07.21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27] 다문택선(多聞擇善) / 많은 듣고 좋은 것을 가려서 택하라 (0) | 2024.07.20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26] 종이불망 익불사숙(釣而不網 弋不射宿) / 정도를 지키는 삶의 자세 (0) | 2024.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