陳司敗問昭公知禮乎?(진사패문소공지례호) 孔子曰: “知禮.”(공자왈 지례)
진사패가(陳司敗) 소공이 예를 아닌지를(昭公知禮乎) 물었다(問)
공자가 말하길(孔子曰): “예를 안다(知禮).”라고 했다.
陳, 國名. 司敗, 官名, 卽司寇也. 昭公, 魯君, 名裯. 習於威儀之節, 當時以爲知禮. 故司敗以爲問, 而孔子答之如此.
진은(陳), 나라 이름이다(國名). 사패는(司敗), 관직 이름이니(官名), 곧 사구다(卽司寇也). 소공은(昭公), 노나라 군주로(魯君), 이름은 주다(名裯). 위의에 예절에 익숙해서(習於威儀之節), 당시에(當時) 예를 안다고 여겼다(以爲知禮). 그러므로(故) 사패가(司敗) 질문으로 삼았고(以爲問, 而) 공자가 답한 것이(孔子答之) 이와 같았다(如此).
孔子退, 揖巫馬期而進之, 曰: “吾聞君子不黨, 君子亦黨乎?(공자퇴 읍무가기이진지왈 오문군자부당 군자역당호) 君取於吳爲同姓, 謂之吳孟子.(군취어오위동성 위지오맹자) 君而知禮, 孰不知禮?”(군이지례 숙부지례)
공자가 물러가자(孔子退), 무마기에게 읍하며(揖巫馬期而) 나아가 말하길(進之, 曰): “내가 듣기로(吾聞) 군자는 편당하지 않는다고 했는데(君子不黨), 군자도(君子) 또한(亦) 편당하는가(黨乎)? 임금이(君) 오나라에서 <아내를> 취해서(取於吳) 같은 성이 되니(爲同姓), 오맹자라고 불렀다(謂之吳孟子). 임금이(君而) 예를 안다면(知禮), 누가(孰) 예를 알지 못하겠는가(不知禮)?”라고 했다.
○ 巫馬姓, 期字, 孔子弟子, 名施. 司敗揖而進之也. 相助匿非曰黨. 禮不娶同姓, 而魯與吳皆姬姓. 謂之吳孟子者, 諱之使若宋女子姓者然.
○ 무마는 성이고(巫馬姓), 기는 자로(期字), 공자 제자이며(孔子弟子), 이름은 시다(名施). 사패가(司敗) 읍하고(揖而) 그에게 나아간 것이다(進之也). 서로(相) 잘못을 숨기도록 돕는 것을(助匿非) 당이라 한다(曰黨). 예에(禮) 동성을 취하지 못한다고 하는데(不娶同姓, 而) 노나라와 오나라는(魯與吳) 모두(皆) 희성이다(姬姓). 오맹자라고 부른 것은(謂之吳孟子者), 그것을 감추고(諱之) 마치 송나라 여자의 성을 가진 사람인 것처럼(若宋女子姓者然) 한 것이다(使).
巫馬期以告.(무마기이고) 子曰: “丘也幸, 苟有過, 人必知之.”(구야행 구유과 인필지지)
무마기가(巫馬期) 이것을 고했다(以告). 선생님이 말하길(子曰): “나는(丘也) 다행이니(幸), 만약(苟) 허물이 있다면(有過), 사람들이(人) 반드시(必) 그것을 안다(知之).”
孔子不可自謂諱君之惡, 又不可以娶同姓爲知禮, 故受以爲過而不辭.
공자가(孔子) 군자의 악행을 숨겼다고(諱君之惡) 스스로 말할 수 없고(不可自謂), 또(又) 동성을 아내로 삼는 것이(娶同姓) 예를 안다고 할 수 없었고(不可以爲知禮), 그러므로(故) 받아들이고(受以) 잘못으로 삼아(爲過而) 변명하지 않았다(不辭).
○ 吳氏曰: “魯蓋夫子父母之國, 昭公, 魯之先君也. 司敗又未嘗顯言其事, 而遽以知禮爲問, 其對之宜如此也. 及司敗以爲有黨, 而夫子受以爲過, 蓋夫子之盛德, 無所不可也. 然其受以爲過也, 亦不正言其所以過, 初若不知孟子之事者, 可以爲萬世之法矣.”
○ 吳氏曰: “노나라는(魯) 대체로(蓋) 부자의 부모 나라이고(夫子父母之國), 소공은(昭公), 노나라의 앞선 임금이다(魯之先君也). 사패가(司敗) 또(又) 일찍이 이 일을 드러내 말하지 않고서(未嘗顯言其事, 而) 갑자기(遽) 예를 아는가를(以知禮) 질문으로 삼았으니(爲問), 그 대답한 것이(其對之) 마땅히(宜) 이와 같다(如此也). 사패가(司敗) 편당하는 것이 있다고 여김에(以爲有黨) 이르러서는(及, 而) 선생님이(夫子) 받아들이고(受以) 허물로 삼았으니(爲過), 대체로(蓋) 부자의 성대한 덕이(夫子之盛德), 불가한 것이 없다(無所不可也). 그러나(然) 그 받아들여서(其受以) 허물로 삼은 것도(爲過也), 또한(亦) 그 허물이 되는 까닭을(其所以過) 바로 말하지 않고(不正言), 처음에(初) 마치(若) 맹자의 일을 모르는 것처럼 했으니(不知孟子之事者), 만세의 법도가 될 수 있다(可以爲萬世之法矣).”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33] 회인불권(誨人不倦) / 가르치는 것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0) | 2024.08.01 |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32] 궁행군자(躬行君子) / 군자의 도를 몸소 실천하다 (0) | 2024.08.01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29] 인원호재(仁遠乎哉) / 인이 멀이 있는 것이겠느냐? (0) | 2024.07.21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28] 불보기왕(不保其往) / 지난날의 악행을 마음에 담아 두지 않는다 (0) | 2024.07.21 |
[논어집주(論語集注) 술이(述而) 7-27] 다문택선(多聞擇善) / 많은 듣고 좋은 것을 가려서 택하라 (0) | 2024.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