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曰: “居下位而不獲於上, 民不可得而治也.(거하위이불획어상 민불가득이치야) 獲於上有道: 不信於友, 弗獲於上矣;(획어상유도 불신어우 불획어상의) 信於友有道: 事親弗悅, 弗信於友矣;(신어우유도 사친불열 불신어우의) 悅親有道: 反身不誠, 不悅於親矣;(열친유도 반신불성 불열어친의) 誠身有道: 不明乎善, 不誠其身矣.(성신유도 불명호선 불성기신의)
孟子曰: “아랫자리에 머물면서(居下位而) 윗사람엑 <믿음을> 얻지 못하면(不獲於上), 백성을 다스릴 수 없다(民不可得而治也). 윗사람에게 얻는 것에(獲於上) 도가 있으니(有道): 벗에게(於友) 믿음을 얻지 못하면(不信), 윗사람에게 얻을 수 없고(弗獲於上矣); 벗에게 믿음을 얻는 것에(信於友) 도가 있으니(有道): 부모를 모시면서(事親) 기뻐하지 않으면(弗悅), 벗에게 믿음을 얻지 못하고(弗信於友矣); 부모를 기쁘게 하는 것에(悅親) 도가 있으니(有道): 자신을 돌아보고(反身) 성실하지 않으면(不誠), 부모를 기쁘게 할 수 없고(不悅於親矣); 자신을 성실하게 하는 것에 도가 있으니(誠身有道): 선에 밝지 못하면(不明乎善), 자신을 성실하게 할 수 없다(不誠其身矣).
獲於上, 得其上之信任也. 誠, 實也. 反身不誠, 反求諸身而其所以爲善之心有不實也. 不明乎善, 不能卽事以窮理. 無以眞知善之所在也.
획어상은(獲於上), 자기 윗사람의(其上之) 신임을 얻는 것이다(得信任也). 성은(誠), 성실함이다(實也). 반신불성은(反身不誠), 돌이켜(反) 자기에게 구하는데(求諸身而) 그(其) 선하려는 마음에(爲善之心) 성실하지 않음이 있는 것이다(所以有不實也). 불명호선은(不明乎善), 사물에 나아가(卽事以) 이치를 지극히 하지 못함이다(不能窮理). 참으로(眞) 선이 있는 곳을(善之所在) 알 수 없다(無以知也).
游氏曰: “欲誠其意, 先致其知; 不明乎善, 不誠乎身矣. 學至於誠身, 則安往而不致其極哉? 以內則順乎親, 以外則信乎友, 以上則可以得君, 以下則可以得民矣.”
游氏曰: “그 뜻을 성실하게 하려면(欲誠其意), 먼저(先) 그 지를 지극하게 하고(致其知); 선에 밝지 않으면(不明乎善), 몸을 성실하게 하지 못한다(不誠乎身矣). 배움이(學) 몸을 성실하게 함에 이르면(至於誠身, 則) 어디를 가더라도(安往而) 그 지극함에 이르지 않겠는가(不致其極哉)? 안으로(以內則) 부모에게 순하고(順乎親), 밖으로(以外則) 벗에게 믿음을 주고(信乎友), 위로(以上則) 임금의 <믿음을> 얻을 수 있고(可以得君), 아래로(以下則) 백성의 <믿음을> 얻을 수 있다(可以得民矣).”
是故誠者, 天之道也;(시고성자 천지도야) 思誠者, 人之道也.(사성자 인지도야)
이 때문에(是故) 성이란(誠者), 하늘의 도이고(天之道也); 성을 생각하는 것은(思誠者), 사람의 도다(人之道也).
誠者, 理之在我者皆實而無僞, 天道之本然也; 思誠者, 欲此理之在我者皆實而無僞, 人道之當然也.
성이란(誠者), 이치가(理之) 나에게 있는 것이(在我者) 모두(皆) 성실하고 거짓이 없으니(實而無僞), 하늘의 본래 그런 것이고(天道之本然也); 사성은(思誠者), 이 이치가 나에게 있음이(此理之在我者) 모두(皆) 성실하고 거짓이 없으려고 하는 것이니(欲實而無僞), 인도의 당연함이다(人道之當然也).
至誠而不動者, 未之有也;(지성이부동자 미지유야) 不誠, 未有能動者也.”(불성 미유능동자야)
지극히 정성스러운데(至誠而) 움직이지 않는 것은(不動者), 아직 있지 않고(未之有也); 정성스럽지 않은데(不誠), 움직이는 것은 있지 않다(未有能動者也).”
至, 極也. 楊氏曰: “動便是驗處, 若獲乎上, 信乎友, 悅於親之類是也.”
지는(至), 지극함이다(極也).
楊氏曰: “움직임은(動) 바로(便是) 효험이 있는 곳이니(驗處), 획호상, 신우호, 열어친 같은 것이(若獲乎上, 信乎友, 悅於親之類) 이것이다(是也).”
○ 此章述『中庸』孔子之言, 見思誠爲修身之本, 而明善又爲思誠之本. 乃子思所聞於曾子, 而孟子所受乎子思者, 亦與『大學』相表裏, 學者宜潛心焉.
○ 이 장은(此章) 중용 공자의 말을 기술하고(述『中庸』孔子之言), 사성이(思誠) 수신의 근본이 되고(爲修身之本, 而) 명선도 또한(明善又) 사성의 근본이 됨을(爲思誠之本) 보였다(見). 곧(乃) 자사가(子思) 증자에게 들은 것과(所聞於曾子, 而) 맹자가(孟子) 자사에게 받은 것도(所受乎子思者), 또한(亦) 대학과(與『大學』) 서로 표리가 되니(相表裏), 학자는(學者) 마땅히(宜) 마음을 다해야 한다(潛心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