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絶四: 毋意, 毋必, 毋固, 毋我.(자절사무의무필무고무아)
선생님은(子) 네 가지를 끊었는데(絶四): 사사로운 생각이 없었고(毋意), 기필함이 없었고(毋必), 고집부림이 없었고(毋固), 나만 위함이 없었다(毋我).
絶, 無之盡者. 毋, 『史記』作 “無”是也. 意, 私意也. 必, 期必也. 固, 執滯也. 我, 私己也. 四者相爲終始, 起於意, 遂於必, 留於固, 而成於我也. 蓋意必常在事前, 固我常在事後, 至於我又生意, 則物欲牽引, 循環不窮矣.
절은(絶), 없음이(無之) 완전한 것이다(盡者). 무는(毋), 사기에서(『史記』) 무로 썼는데(作 “無”) 이것이다(是也). 의란(意), 사의다(私意也). 필은(必), 기필이다(期必也). 고는(固), 집체다(執滯也). 아는(我), 자기를 사사로이 여김이다(私己也). 네 가지는(四者) 서로(相) 시작과 끝이 되니(爲終始), 의에서 일어나서(起於意), 필에서 이루어지고(遂於必), 고에서 머물며(留於固, 而) 아에서 이루어진다(成於我也). 대체로(蓋) 뜻은(意) 반드시(必) 늘(常) 일의 앞에 있고(在事前), 고와 아는(固我) 늘(常) 일의 뒤에 있고(在事後), 아에 이르면(至於我) 또(又) 뜻을 만드니(生意, 則) 물욕이 끌고(物欲牽引), 순환하는 것이 다하지 않는다(循環不窮矣).
○ 程子曰: “此毋字, 非禁止之辭. 聖人絶此四者, 何用禁止.”
○ 程子曰: “이(此) 무라는 글자는(毋字), 금지하는 말이 아니다(非禁止之辭). 성인이(聖人) 이 네 가지를 끊었으니(絶此四者), 금지를 어디에 쓰겠는가(何用禁止).”
張子曰: “四者有一焉, 則與天地不相似.”
張子曰: “넷 가운데(四者) 하날도 있으면(有一焉, 則) 천지와 더불어(與天地) 서로 같지 않다(不相似).”
楊氏曰: “非知足以知聖人, 詳視而黙識之, 不足以記此.”
楊氏曰: “지혜가(知) 성인을 알기에 충분하고(足以知聖人), 자세히 보고(詳視而) 묵묵히 안 것이(黙識之) 아니라면(非), 이것을 기록할 수 없다(不足以記此).”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6] 다능비사(多能鄙事) / 내가 등용되지 않아서 기예를 많이 익혔다 (0) | 2024.08.25 |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5] 자외어광(子畏於匡) / 하늘이 이 문을 버리지 않을 것이다 (0) | 2024.08.24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3] 수위중오종하(雖違衆吾從下) / 나는 잘못된 세태를 따르지 않겠다 (0) | 2024.08.24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2] 무소성명(無所成名) / 공자가 이룬 것은 무엇인가? (0) | 2024.08.24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1] 자한언리(子罕言利) / 공자가 드물게 말한 것들 (0) | 2024.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