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見齊衰者,(자견자최자) 冕衣裳者與瞽者,(면의상자여고자) 見之, 雖少必作;(견지수소필작) 過之, 必趨.(과지필추)
선생님은(子) 상복을 입은 사람과(齊衰者), 관을 쓰고 위아래 옷을 갖춘 사람과(冕衣裳者與) 맹인을(瞽者) 볼 때(見), 그들을 보면(見之), 비록 어리더라도(雖少) 반드시 일어났고(必作); 지나갈 때(過之), 반드시 종종걸음을 했다(必趨).
○ 齊衰, 喪服. 冕, 冠也. 衣, 上服. 裳, 下服. 冕而衣裳, 貴者之盛服也. 瞽, 無目者. 作, 起也. 趨, 疾行也. 或曰: “少, 當作坐.”
○ 자최는(齊衰), 상복이다(喪服). 면은(冕), 관이다(冠也). 의는(衣), 윗옷이고(上服). 상은(裳), 아랫도리다(下服). 관이의상은(冕而衣裳), 귀한 사람이(貴者之) 옷을 갖춰 입은 것이다(盛服也). 고는(瞽), 눈이 없는 사람이다(無目者). 작은(作), 일어남이다(起也). 추는(趨), 빨리 지나감이다(疾行也). 누군가 말하길(或曰): “소는(少), 마땅히 좌가 되어야 한다(當作坐).”라고 했다.
○ 范氏曰: “聖人之心, 哀有喪, 尊有爵, 矜不成人. 其作與趨, 蓋有不期然而然者.”
○ 范氏曰: “성인의 마음은(聖人之心), 초상당한 사람에게 슬퍼하고(哀有喪), 작위가 있는 사람을 존경하고(尊有爵), 장애인을 불쌍히 여긴다(矜不成人). 그 일어남과 빨리 지나감은(其作與趨), 대체로(蓋) 그러려고 한 것이 아닌데도(不期然而) 그러함이 것이 있음이다(有然者).”
尹氏曰: “此聖人之誠心, 內外一者也.”
尹氏曰: “이것은(此) 성인의 참된 마음이(聖人之誠心), 안과 밖이(內外) 하나인 것이다(一者也).”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11] 무신이위유신(無臣而爲有臣) / 하늘을 속이려는 것인가? (0) | 2024.08.26 |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10] 앙지미고 욕파불능(仰之彌高 欲罷不能) / 안연이 바라본 공자의 위대함 (0) | 2024.08.25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8] 봉조부지 하불출도(鳳鳥不至 河不出圖) / 나는 끝이로구나 (0) | 2024.08.25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7] 집기양단(執其兩端) / 성인의 말은 위아래로 다해서 남김이 없다 (0) | 2024.08.25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6] 다능비사(多能鄙事) / 내가 등용되지 않아서 기예를 많이 익혔다 (0) | 2024.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