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主忠信, 毋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주충신 무우불여기자 과즉물탄개)
子曰: “충과 신을 위주로 하고(主忠信), 자기보다 못한 사람을(不如己者) 벗하지 말고(毋友), 허물이 있으면(過則)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勿憚改).”
重出而逸其半.
두번 나왔고(重出而) 그 반을 잃어버렸다(逸其半).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26] 불기불구(不忮不求) / 해치지 말고 탐내지 말아라 (0) | 2024.08.27 |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25] 필부불가탈지(匹夫不可奪) / 필부라도 뜻을 빼앗을 수 없다 (0) | 2024.08.27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23] 법어지언 손여지언(法語之言 巽與之言) / 깨우쳐주는 말과 타이르는 말 (0) | 2024.08.27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22] 후생가외(後生可畏) / 뒤에 난 사람은 두려워할만 하다 (0) | 2024.08.27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21] 묘이불수 수이불실(苗而不秀 秀而不實) / 꽃을 피우지 못한 안타까운 천재들 (0) | 2024.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