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曰: “君子深造之以道, 欲其自得之也.(군자심조지이도 욕기자득지야)
孟子曰: “군자가(君子) 깊이 나가는 것은(深造之) 도로써 하니(以道), 그 스스로 얻기를 바라는 것이다(欲其自得之也).
○ 造, 詣也. 深造之者, 進而不已之意. 道, 則其進爲之方也.
○ 조는(造), 가는 것이다(詣也). 깊이 나아가는 것은(深造之者), 나아가고(進而) 그치지 않는다는 뜻이다(不已之意). 도는(道, 則) 그 나아가는(其進) 방법이 된다(爲之方也).
自得之, 則居之安;(자득지즉거지안) 居之安, 則資之深;(거지안즉자지심) 資之深, 則取之左右逢其原, 故君子欲其自得之也.”(자지심즉취지좌우봉기원 고군자욕기자득지야)
스스로 얻으면(自得之, 則) 거처함이 편안하고(居之安); 거처함이 편안하면(居之安, 則) 쌓이는 것이 깊고(資之深); 쌓이는 것이 깊으면(資之深, 則) 좌에서 얻는 것이(取之左右) 그 근원을 만나고(逢其原), 그러므로(故) 군자는(君子) 스스로 얻으려고 한다(欲其自得之也).”
資, 猶藉也. 左右, 身之兩旁, 言至近而非一處也. 逢, 猶値也. 原, 本也, 水之來處也. 言君子務於深造而必以其道者, 欲其有所持循, 以俟夫黙識心通, 自然而得之於己也. 自得於己, 則所以處之者安固而不搖; 處之安固, 則所藉者深遠而無盡; 所藉者深, 則日用之閒取之至近, 無所往而不値其所資之本也.
자는(資), 적과 같다(猶藉也). 좌우는(左右), 몸의(身之) 양쪽 곁이니(兩旁), 매우 가깝지만(至近而) 한 곳이 아님을(非一處) 말한다(言也). 봉은(逢), 치와 같다(猶値也). 원은(原), 근본이고(本也), 물이(水之) 나오는 곳이다(來處也). 군자가(君子) 깊이 나아가마에 힘쓰고(務於深造而) 반드시(必) 그 도로써 하는 것은(以其道者), 잡아 지키고 따라는 것이 있어서(其有所持循, 以) 묵묵히 알고 마음으로 통하기를 기다려서(俟夫黙識心通), 자연히(自然而) 자기에게 얻어지기를(得之於己) 바란다는 것을(欲) 말했다(言也). 자기에게 스스로 얻어지면(自得於己, 則) 대처하는 것이(所以處之者) 편안하고 견고해서(安固而) 흔들리지 않고(不搖); 대처가 편안하고 견고하면(處之安固, 則) 쌓이는 것이(所藉者) 깊고 멀어서(深遠而) 다함이 없고(無盡); 쌓이는 것이 깊으면(所藉者深, 則) 일상생활에서(日用之閒) 얻는 것이 가깝고(取之至近), 가는 곳마다(所往而) 그 쌓임의 근본을 만나지 않는 것이(不値其所資之本) 없다(無也).
○ 程子曰: “學不言而自得者, 乃自得也. 有安排布置者, 皆非自得也. 然必潛心積慮, 優游饜飫於其閒, 然後可以有得. 若急迫求之, 則是私己而已, 終不足以得之也.”
○ 程子曰: “배움은(學) 말하지 않고(不言而) 스스로 아는 것이(自得者), 바로(乃) 자득이다(自得也). 안배하고 포치함이 있는 것은(有安排布置者), 모두(皆) 자득이 아니다(非自得也). 그러나(然) 반드시(必) 마음을 가라앉히고(潛心) 생각을 쌓아서(積慮), 그 사이에(於其閒) 넉넉하게 헤엄치고(優游) 물리도록 먹고 나서야(饜飫, 然後) 얻음이 있다(可以有得). 만약(若) 급박하게 구한다면(急迫求之, 則) 이것은(是) 자기를 사사롭게 하는 것일 뿐이니(私己而已), 끝내(終) 얻을 수 없다(不足以得之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