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孟子曰: “以善服人者, 未有能服人者也;(이선복인자 미유능복인자야) 以善養人, 然後能服天下.(이선양인 연후능복ㅊ언하) 天下不心服而王者, 未之有也.”(천하불심복이왕자 미지유야)
孟子曰: “선으로(以善) 남을 복종시킨 사람은(服人者), 남을 복종시킨 사람이(能服人者) 있지 않고(未有也); 선으로(以善) 남을 기르고 나서야(養人, 然後) 천하를 복종시킬 수 있다(能服天下). 천하가(天下) 마음으로 복종하지 않았는데(不心服而) 왕 노릇 한 사람은(王者), 있지 않다(未之有也).”
○ 服人者, 欲以取勝於人; 養人者, 欲其同歸於善. 蓋心之公私小異. 而人之嚮背頓殊, 學者於此不可以不審也.
○ 복인이란(服人者), 남에게(於人) 이김을 취하려는 것이고(欲以取勝); 양인이란(養人者), 선에(於善) 함께 돌아가려는 것이다(欲其同歸). 대체로(蓋) 마음의 공사가(心之公私) 조금 다르고(小異. 而) 사람의 향배가(人之嚮背) 크게 다르니(頓殊), 학자는(學者) 이것을(於此) 잘 살피지 않을 수 없다(不可以不審也).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