君召使擯, 色勃如也, 足躩如也.(군소사빈 색발여야 족확여야)
임금이 불러서(君召) 빈을 시키면(使擯), 얼굴빛이 발그레한 듯하고(色勃如也), 발걸음이 머뭇거리는 듯했다(足躩如也).
○ 擯, 主國之君所使出接賓者. 勃, 變色貌. 躩, 盤辟貌. 皆敬君命故也.
○ 빈은(擯), 주인 나라의 임금이(主國之君) 나가서 손님을 맞도록 시킨 사람이다(所使出接賓者). 발은(勃), 얼굴빛을 바꾼 모습이다(變色貌). 확은(躩), 머뭇거리는 모습이다(盤辟貌). 모두(皆) 임금의 명령을 공경하기 때문이다(敬君命故也).
揖所與立, 左右手. 衣前後, 襜如也.(읍소여립 좌우수 의전후 첨여야)
함께 선 사람에게(所與立) 읍할 때(揖), 손을 왼쪽으로 하고 오른쪽으로 했다(左右手). 옷의 앞뒤가(衣前後), 가지런했다(襜如也).
○ 所與立, 謂同爲擯者也. 擯用命數之半, 如上公九命, 則用五人, 以次傳命. 揖左人, 則左其手; 揖右人, 則右其手. 襜, 整貌.
○ 소여립은(所與立), 같이(同) 빈인 된 사람을(爲擯者) 말한다(謂也). 빈은(擯) 명수의 절반을 쓰고(用命數之半), 만약(如) 상공인 9명이라면(上公九命, 則) 다섯 사람을 쓰고(用五人), 차례로(以次) 명을 전한다(傳命). 왼쪽 사람에게 읍하면(揖左人, 則) 손을 왼쪽으로 하고(左其手); 오른쪽 사람에게 읍하면(揖右人, 則) 손을 오른쪽으로 한다(右其手). 첨은(襜), 단정한 모습이다(整貌).
趨進, 翼如也.(추진 익여야)
종종걸음으로 나아가면(趨進), 날개를 펴는 듯했다(翼如也).
疾趨而進, 張拱端好, 如鳥舒翼.
빠르게 달려서(疾趨而) 나아갈 때는(進), 어깨를 들고 공수한 것이(張拱) 단정하고 좋아서(端好), 새가 날개를 편 것처럼 했다(如鳥舒翼).
賓退, 必復命曰: “賓不顧矣.”(빈퇴 필복명오라 빈불고의)
빈이 물러가면(賓退), 반드시(必) 복명하여 말하길(復命曰): “빈이(賓) 돌아보지 않았습니다(不顧矣).”라고 했다.
紓君敬也.
임금의 공경하는 마음을 푸는 것이다(紓君敬也).
○此一節, 記孔子爲君擯相之容.
○이 한 구절은(此一節,) 공자가(孔子) 임금을 위해(爲君) 빈상하는 모습을(擯相之容) 기록한 것이다(記).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향당(鄕黨) 10-5] 여불승(如不勝) / 공자가 사신을 가서 행하는 예절 (0) | 2024.09.02 |
---|---|
[논어집주(論語集注) 향당(鄕黨) 10-4] 조정에서 보이는 공자의 행동거지 (0) | 2024.09.01 |
[논어집주(論語集注) 향당(鄕黨) 10-2] 간간여야 은은여야(侃侃如也 誾誾如也) / 조정에서 활동하는 공자의 모습 (0) | 2024.09.01 |
[논어집주(論語集注) 향당(鄕黨) 10-1] 似不能言(사불능언) / 자리에 따라 다른 공자의 행동과 말투 (0) | 2024.09.01 |
[논어집주(論語集注) 자한(子罕) 9-30] 당체지화(唐棣之華) / 어찌 그대를 생각하지 않겠는가 (0) | 2024.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