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집주(論語集注)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2] 공문십철 (孔門十哲) / 공자의 뛰어난 제자 열 명이 있었다

by मोक्ष 2024. 9. 7.
반응형

子曰: “從我於陳ㆍ蔡者, 皆不及門也.”(종아어진채자 개불급문야)

子曰: “진나라와 채나라에서(於陳ㆍ蔡) 나를 따르던 사람이(從我者), 모두(皆) 나의 문에(門) 이르지 못했다(不及也).”


○ 孔子嘗厄於陳ㆍ蔡之間, 弟子多從之者, 此時皆不在門. 故孔子思之, 蓋不忘其相從於患難之中也.

○ 공자가(孔子) 일찍이(嘗) 진나라와 채나라 사이에서(於陳ㆍ蔡之間) 곤액을 겪었고(厄), 제자 가운데(弟子) 많은 사람이 따랐는데(多從之者), 이때(此時) 모두(皆) 문에 있지 않았다(不在門). 그러므로(故) 공자가(孔子) 그것을 생각하고(思之), 대체로(蓋) 환난 가운데서(於患難之中) 그 서로 따르던 사람을(其相從) 잊지 못했다(不忘也).

德行: 顔淵ㆍ閔子騫ㆍ冉伯牛ㆍ仲弓.(덕행안연민자건염백우중궁) 言語: 宰我ㆍ子貢.(언어재아자공) 政事: 冉有ㆍ季路.(정사염유계로) 文學: 子游ㆍ子夏.(문학자유자하)

덕행에는(德行): 안연, 민자건, 염백우, 중궁이 있다(顔淵ㆍ閔子騫ㆍ冉伯牛ㆍ仲弓). 언어에는(言語): 재아와 자공이 있다(宰我ㆍ子貢). 정사에는(政事): 염유와 계로가 있다(冉有ㆍ季路). 문학에는(文學): 자유와 자하가 있다(子游ㆍ子夏).


○ 弟子因孔子之言, 記此十人, 而幷目其所長, 分爲四科. 孔子敎人各因其材, 於此可見.

○ 제자가(弟子) 공자의 말을 따라서(因孔子之言), 이 열 명을 기록했고(記此十人, 而) 동시에(幷) 그 장점을 지목해서(目其所長), 나누어(分) 네 과목을 만들었다(爲四科). 공자가(孔子) 사람을 가르칠 때(敎人) 각자(各) 그 재질에 따른 것을(因其材), 여기서(於此) 알 수 있다(可見).


○ 程子曰: “四科乃從夫子於陳ㆍ蔡者爾, 門人之賢者固不止此. 曾子傳道而不與焉, 故知十哲世俗論也.”

○ 程子曰: “사과는(四科) 곧(乃) 진나라와 채나라에서 공자를 따르던 사람일 뿐이고(從夫子於陳ㆍ蔡者爾), 문인 가운데 현명한 사람은(門人之賢者) 진실로(固) 이것에 그치지 않는다(不止此). 증자가(曾子) 도를 전했지만(傳道而) 끼지 못했고(不與焉), 그러므로(故) 십철은(十哲) 세속의 의론임을 알 수 있다(知世俗論也).”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