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집주(論語集注)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6] 안연호학(顔回好學) / 안연이 배우기를 좋아했는데 지금은 그런 사람이 없다

by मोक्ष 2024. 9. 7.
반응형

季康子問: “弟子孰爲好學?”(계강자문 제자숙위호학)

계강자가 묻기를(季康子問): “제자 가운데(弟子) 누가(孰) 배우기를 좋아합니까(爲好學)?”라고 했다.


孔子對曰: “有顔回者好學, 不幸短命死矣!(유안회자호학 불행단명사의) 今也則亡.”(금야즉무)

孔子對曰: “안회라는 사람이 있어(有顔回者) 배우기를 좋아했는데(好學), 불행히도(不幸) 명이 짧아서(短命) 죽었습니다(死矣)! 지금은(今也則) 없습니다(亡).”


○ 范氏曰: “哀公ㆍ康子問同而對有詳略者, 臣之告君, 不可不盡. 若康子者, 必待其能問乃告之, 此敎誨之道也.”

○ 范氏曰: “애공과 강자의(哀公ㆍ康子) 물음이 같지만(問同而) 대답에는(對) 상세함과 간략함이 있으니(有詳略者), 신하가(臣之) 임금에게 고하는 것은(告君), 다하지 않을 수 없다(不可不盡). 강자와 같은 사람이라면(若康子者), 반드시(必) 그가 질문할 수 있기를 기다려(待其能問) 일러주었을 것이니(乃告之), 이것이(此) 가르침의 방법이다(敎誨之道也).”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