顔淵死, 顔路請子之車以爲之槨.(안연사 안로청자지거이위지곽)
안연이 죽자(顔淵死), 안로가(顔路) 공자의 마차 달라고 해서(請子之車以) 그에게 곽을 만들어 주려고 했다(爲之槨).
顔路, 淵之父, 名無繇. 少孔子六歲, 孔子始敎而受學焉. 槨, 外棺也. 請爲槨, 欲賣車以買槨也.
안로는(顔路), 안연의 아버지로(淵之父), 이름은(名) 무유이다(無繇). 공자보다(孔子) 6살(六歲) 어렸고(少), 공자가(孔子) 처음 가르칠 때(始敎而) 배웠다(受學焉). 곽은(槨), 바깥 관이다(外棺也). 곽을 만들어달라고 청한 것은(請爲槨), 마차를 팔아서(賣車以) 곽을 사려고 한 것이다(欲買槨也).
子曰: “才不才, 亦各言其子也.(재부재 역각언기자야) 鯉也死, 有棺而無槨.(리야사 유관이무곽) 吾不徒行以爲之槨.(오불도행이위지곽) 以吾從大夫之後, 不可徒行也.”(이오종대부지후 불가도행야)
子曰: “재주가 있거나(才) 재주가 없거나(不才), 또한(亦) 각자(各) 자기 자식을 말한다(言其子也). 리가 죽었을 때(鯉也死), 관은 있었지만(有棺而) 곽은 없었다(無槨). 내가(吾) 걸어 다니면서(徒行以) 그를 위해 곽을 만들어 줄 수 없다(不爲之槨). 내가(吾) 대부의 뒤를 따르기 때문에(以從大夫之後), 걸어 다닐 수 없다(不可徒行也).”
鯉, 孔子之子伯魚也, 先孔子卒. 言鯉之才雖不及顔淵, 然己與顔路以父視之, 則皆子也. 孔子時已致仕, 尙從大夫之列, 言後, 謙辭.
리는(鯉), 공자의 아들(孔子之子) 백어이고(伯魚也), 공보다 먼저(先孔子) 죽었다(卒). 리의 재주가(鯉之才) 비록(雖) 안연에게 미치지 못하지만(不及顔淵), 그러나(然) 나와 안로가(己與顔路) 아버지로서(以父) 보면(視之, 則) 모두(皆) 자식이라는(子) 말이다(言也). 공자가(孔子) 당시(時) 이미 벼슬에서 물러났지만(已致仕), 그러나(尙) 대부의 반열을 따르므로(從大夫之列), 뒤를 말한 것은(言後), 겸사다(謙辭).
○ 胡氏曰: “孔子遇舊館人之喪, 嘗脫驂以賻之矣. 今乃不許顔路之請, 何邪? 葬可以無槨, 驂可以脫而復求, 大夫不可以徒行, 命車不可以與人而鬻諸市也. 且爲所識窮乏者得我, 而勉强以副其意, 豈誠心與直道哉? 或者以爲‘君子行禮, 視吾之有無而已.’ 夫君子之用財, 視義之可否, 豈獨視有無而已哉?”
○ 胡氏曰: “공자가(孔子) 옛 숙소 주인의 초상을(舊館人之喪) 만나서(遇), 일찍이(嘗) 참마를 풀어(脫驂以) 그에게 주었다(賻之矣). 지금(今乃) 안로의 청을 거절한 것은(不許顔路之請), 어째서인가(何邪)? 장례는(葬) 곽이 없을 수 있지만(可以無槨), 참마는(驂) 풀어주고(脫而) 다시 구할 수 있지만(可以復求), 대부는(大夫) 걸어 다닐 수 없고(不可以徒行), 명거는(命車) 남에게 주어(與人而) 시장에서 팔도록 할 수 없다(不可以鬻諸市也). 또(且) 아는 것은(所識) 궁핍한 사람을 위해(爲窮乏者) 나를 얻어서(得我, 而) 힘써서 억지로(勉强以) 그 뜻을 맞춰준다면(副其意), 어찌(豈) 진실한 마음과(誠心與) 곧은 방법이겠는가(直道哉)? 누군가는(或者) 군자가 예를 행할 때(‘君子行禮), 나의 있고 없음을 볼 뿐이다(視吾之有無而已).’라고 여기지만(以爲) 무릇(夫) 군자가(君子之) 재물을 쓰는 것은(用財), 의리의 가부를 보는 것이니(視義之可否), 어찌(豈) 오직(獨) 있고 없음만을 볼 뿐이겠는가(視有無而已哉)?”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9] 자곡지통(子哭之慟) / 누구를 위하여 통곡하겠는가 (0) | 2024.09.07 |
---|---|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8] 天喪予(천상여) / 공자의 탄식 (0) | 2024.09.07 |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6] 안연호학(顔回好學) / 안연이 배우기를 좋아했는데 지금은 그런 사람이 없다 (0) | 2024.09.07 |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5] 삼복백규(三復白圭) / 말을 함부로 하지 말아라 (0) | 2024.09.07 |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4] 효재민자건(孝哉閔子騫) / 효성스럽구나 민자건이여 (0) | 2024.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