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顔淵死, 子哭之慟.(안연사 자곡지통) 從者曰: “子慟矣.”(종자왈 자통의)
안연이 죽자(顔淵死), 공자의 곡이(子哭之) 너무 슬펐다(慟).
종자가 말하길(從者曰): “선생님께서(子) 너무 슬퍼하십니다(慟矣).”라고 했다.
○ 慟, 哀過也.
○ 통은(慟), 슬픔이 지나친 것이다(哀過也).
曰: “有慟乎?(유통호)
曰: “너무 슬퍼하는 것이 있었는가(有慟乎)?
哀傷之至, 不自知也.
슬픔과 아픔이(哀傷之) 지극해서(至), 스스로 알지 못한 것이다(不自知也).
非夫人之爲慟而誰爲!”(비부인지위통이수위)
이런 사람을 위해(夫人之爲) 통곡하지 않으면(非慟而) 누구를 위해 하겠는가(誰爲)!”
○ 夫人, 謂顔淵. 言其死可惜, 哭之宜慟, 非他人之比也.
○ 부인은(夫人), 안연을 말한다(謂顔淵). 그 죽음이(其死) 애석하니(可惜), 곡이(哭之) 마땅히 슬프고(宜慟), 다른 사람을 비교할 것이 아니라는(非他人之比) 말이다(言也).
○ 胡氏曰: “痛惜之至, 施當其可, 皆情性之正也.”
○ 胡氏曰: “통석이 지극하고(痛惜之至), 베푸는 것이(施) 그럴만한 것에 마당하니(當其可), 모두(皆) 정성이 올바른 것이다(情性之正也).”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11] 미지생 언지사(未知生 焉知死) / 삶도 모르는데 죽음을 어찌 알겠는가 (0) | 2024.09.07 |
---|---|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10] 안연후장(顔淵厚葬) / 문인들이 안연을 후하게 장사 지내다 (0) | 2024.09.07 |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8] 天喪予(천상여) / 공자의 탄식 (0) | 2024.09.07 |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7] 유관무곽(有棺無槨) / 안로가 안연을 위해 곽을 만들어 달라고 청하다 (0) | 2024.09.07 |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6] 안연호학(顔回好學) / 안연이 배우기를 좋아했는데 지금은 그런 사람이 없다 (0) | 2024.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