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顔淵死, 門人欲厚葬之, 子曰: “不可.”(안연사 문인욕후장지 자왈 불가)
안연이 죽자(顔淵死), 문인들이(門人) 그를(之) 후하게 장사 지내려고 했는데(欲厚葬), 선생님이 말하길(子曰): “안된다(不可).”라고 했다.
喪具稱家之有無, 貧而厚葬, 不循理也. 故夫子止之.
초상은(喪) 집안의 유무에(家之有無) 모두 알맞게 하는 것이고(具稱), 가난한데도(貧而) 후하게 장사 지내는 것은(厚葬), 이치를 따르지 않는 것이다(不循理也). 그러므로(故) 공자가(夫子) 그것을 그만두도록 했다(止之).
門人厚葬之.(문인후장지)
문인이(門人) 후하게 장사 지냈다(厚葬之).
蓋顔路聽之.
아마(蓋) 안로가 청했을 것이다(顔路聽之).
子曰: “回也視予猶父也, 予不得視猶子也.(회야시여유부야 여부득시유자야) 非我也, 夫二三子也.”(비아야 부이삼자야)
子曰: “안회가(回也) 나를(予) 아버지처럼(猶父) 여겼는데(視也), 내가(予) 자식처럼(猶子) 보지 못했다(不得視也). 내가 아니라(非我也), 저 제자들이다(夫二三子也).”
歎不得如葬鯉之得宜, 以責門人也.
리를 장사 지낸 것이 합당했던 것처럼(如葬鯉之得宜) 하지 못한 것을 탄식하고(歎不得 , 以) 문인을 꾸짖었다(責門人也).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12] 부득기사(不得其死) / 제자들을 가르치고 즐거워하는 공자 (0) | 2024.09.08 |
---|---|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11] 미지생 언지사(未知生 焉知死) / 삶도 모르는데 죽음을 어찌 알겠는가 (0) | 2024.09.07 |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9] 자곡지통(子哭之慟) / 누구를 위하여 통곡하겠는가 (0) | 2024.09.07 |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8] 天喪予(천상여) / 공자의 탄식 (0) | 2024.09.07 |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7] 유관무곽(有棺無槨) / 안로가 안연을 위해 곽을 만들어 달라고 청하다 (0) | 2024.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