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서(五書) 읽기/논어집주(論語集注)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13] 언필유중(言必有中) / 말을 하면 반드시 이치에 맞는다

by मोक्ष 2024. 9. 8.
반응형

魯人爲長府.(노인위장부)

노나라 사람들이(魯人) 창고를 다시 지었다(爲長府).


長府, 藏名. 藏貨財曰府. 爲, 蓋改作之.

장부는(長府), 창고 이름이다(藏名). 재화를 보관하는 것을(藏貨財) 부라고 한다(曰府). 위는(爲), 대체로(蓋) 고쳐서 만드는 것이다(改作之).

閔子騫曰: “仍舊貫, 如之何?(민자건왈 잉구관 여지하) 何必改作?”(하필개작)

민자건이 말하길(閔子騫曰): “옛 일을 따르는 것이(仍舊貫), 어떤가(如之何)? 하필(何必) 다시 짓는가(改作)?”라고 했다.


仍, 因也. 貫, 事也. 王氏曰: “改作, 勞民傷財. 在於得已, 則不如仍舊貫之善.”

잉은(仍), 따름이다(因也). 관은(貫), 일이다(事也).

왕씨가 말하길(王氏曰): “개작은(改作), 백성을 힘들게 하고(勞民) 재물을 없앤다(傷財). 그만둘 수 있다면(在於得已, 則) 옛날의 좋은 점을(舊貫之善) 따르는 것만 못하다(不如仍).”라고 했다.

子曰: “夫人不言, 言必有中.”(부인불언 언필유중)

子曰: “저 사람은(夫人) 말을 <함부로> 하지 않지만(不言), 말하면(言) 반드시(必) 맞는 것이 있다(有中).”


○ 言不妄發, 發必當理, 惟有德者能之.

○ 말을(言) 함부로 하지 않지만(不妄發), 하면(發) 반드시(必) 이치에 맞으니(當理), 오직(惟) 덕 있는 사람만이(有德者) 할 수 있다(能之).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