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貢問: “師與商也孰賢?”(사여상야숙현) 子曰: “師也過, 商也不及.”(사야과 상야불급)
자공이 묻기를(子貢問): “사왕 상 중에(師與商也) 누가 더 현명한가요(孰賢)?”라고 했다.
선생님이 말씀하시길(子曰): “사는(師也) 지나치고(過), 상은(商也) 미치지 못한다(不及).”라고 했다.
子張才高意廣, 而好爲苟難, 故常過中. 子夏篤信謹守, 而規模狹隘, 故常不及.
자장은(子張) 재주고 높고(才高) 뜻이 넓어서(意廣, 而) 구차하고 어려운 일 하기를 좋아했고(好爲苟難), 그러므로(故) 늘 지나쳤다(常過中). 자하는(子夏) 독신하고(篤信) 삼가고 지켜서(謹守, 而) 규모가 좁았고(規模狹隘), 그러므로(故) 늘 미치지 못했다(常不及).
曰: “然則師愈與?”(연즉사유여)
曰: “그렇다면(然則) 사가 더 나은가요(師愈與)?”
○ 愈, 猶勝也.
○ 유는(愈), 이김과 같다(猶勝也).
子曰: “過猶不及.”(과유불급)
子曰: “지나침은(過) 모자람과 같다(猶不及).”
道以中庸爲至. 賢知之過, 雖若勝於愚不肖之不及, 然其失中則一也.
도는(道) 중용을(以中庸) 지극함으로 삼는다(爲至). 현명함과 지혜가(賢知之) 지나치면(過), 비록(雖) 어리석고 못난 사람의 모자람을(於愚不肖之不及) 이긴 것 같지만(若勝), 그러나(然) 그 중을 잃은 것은(其失中則) 같다(一也).
○ 尹氏曰: “中庸之爲德也, 其至矣乎! 夫過與不及, 均也. 差之毫釐, 繆以千里. 故聖人之敎, 抑其過, 引其不及, 歸於中道而已.”
○ 尹氏曰: “중용의(中庸之) 덕 됨이(爲德也), 매우 지극하구나(其至矣乎)! 무릇(夫) 지나침과 모자람은(過與不及), 같다(均也). 차이가(差之) 털끝만큼이라도(毫釐), 어긋남은(繆以) 천리가 된다(千里). 그러므로(故) 성인의 가르침은(聖人之敎), 그 지나침을 누르고(抑其過), 그 모자람을 끌어서(引其不及), 중도에 돌아가게 할 뿐이다(歸於中道而已).”
'오서(五書) 읽기 > 논어집주(論語集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17] 우노벽안(愚魯辟喭) / 공자가 제자들을 평가하다 (0) | 2024.09.08 |
---|---|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16] 취렴지신 명고공지(聚斂之臣 鳴鼓攻之) / 염구는 우리의 무리가 아니다 (0) | 2024.09.08 |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14] 승당입실(升堂入室) / 당에 오르고 방에 들어가다 (0) | 2024.09.08 |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13] 언필유중(言必有中) / 말을 하면 반드시 이치에 맞는다 (0) | 2024.09.08 |
[논어집주(論語集注) 선진(先進) 11-12] 부득기사(不得其死) / 제자들을 가르치고 즐거워하는 공자 (0) | 2024.09.08 |